안녕하세요? 건축계획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시설의 이용률은 학교의 전체 시설을 말합니다. 또한 교실의 이용률은 학교의 시설 중 교실만을 의미합니다. 교과교실형은 교과과정에 따라 교실을 이동하면서 수업을 받는 형식이므로 학교의 전체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교실의 경우 수업을 진행하는 교실도 있고 수업이 없는 교실도 있기 때문에 교실의 이용률이 낮은 것이 단점입니다.
(2) 엘보엑서스는 주복도와 교실 앞의 복도를 두는 형식입니다. 교실 앞의 복도는 다른 교실과는 연결되지 않고 해당 교실 앞에만 배치되는 복도이므로 교실간의 방해가 적고 교실로 전달되는 소음이 적습니다. 그러나 학교 전체로 보았을 때에는 건물 내부에서의 소음은 많이 발생하는 것이 단점입니다.
(3) 클러스터형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4) 운동장을 장축이 동서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면 축구골대가 동서방향으로 배치됩니다. 그렇게 되면 오후에 석양이 질 때 햇빛에 의해 시야확보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운동장은 남북축으로 배치하며, 실내체육관은 태양빛에 영향이 적기 때문에 동서방향으로 배치합니다.
(5) (2) 답변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6) 말씀하신 내용은 1인당 면적이고 보기의 내용은 교실의 면적입니다. 교실의 크기는 p233에 세부계획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7) 급식실의 면적은 말씀하신 내용이 맞는 내용입니다. 교재에 오류가 있습니다. 수정하셔서 학습해 주시기 바랍니다.
(8) 학교 주변의 소음은 60dB 이하입니다. 환경법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소음값에 대해서는 학습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9) 그림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혼란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 문제에서 의도하는 것은 소도시의 도서관이므로 규모가 작은 도서관을 의미하는 것이며, 관리기능상 부적합한 것을 찾는 것입니다. 따라서 규모가 작은 도서관에서는 서고를 2개 이상으로 하여 분산배치하면 관리상 동선이 길어지므로 관리기능상 적합하지 않은 그림을 찾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서고가 2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경우는 보관하는 장서의 양이 많거나 장서의 성격이 다른 경우 분리해서 설치하며 일반적으로는 규모가 큰 도서관에서 이러한 형식을 적용합니다.
(10) 시청각 자료실은 비디오, 오디오 등과 같은 자료를 보관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분실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폐가식으로 운영합니다.
(11) b'는 서가와 서가 사이의 통로부분을 말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