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일단 건축시공에서 재료를 상세하게 설명을드리면 상당히 문제를 푸시는데 오히려 헛갈리고 내용이 상당히 어려워지기 때문에 문제에서 원하는 정답이아닌 경우는 좀더 쉽게 설명을 드리기위해서 디테일한것을 생략해서 설명을드리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특히 재료에대한 내용은 너무 자세한 설명은 시험문제의 정답을 결정하는데 오히려 장애가 됩니다.
1)질문하신 3번문제의 정답은 4번이구요,/이 내용을 질문하시면 좀더 세분해서 설명을 드릴수 밖에 없네요.*1.무수석고는 일반석고에 비해서 경질이고 강도도 크나, 조금 늦게굳는 단점이 있어요.그래서 명반을 넣어서 빨리굳게 한것이 킨즈시멘트라는 검니다,2.질문하신 문제 아래에서 4번문제의 3번항목을 보시면 경석고 플라스터의 재료가 나오는데요,이 킨즈시멘트에 모래,여물,물을 넣은것이 경석고 플라스터로 되어있지요,,,*기본적으로 성질은 유사하나 세부적으로는 이렇게 구분이 되는 검니다,그런데 대부분의 문제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구분하지 않고 출제가 되므로 이 세가지의 기본성질은 유사하다고 하는검니다./*때문에 3번 지문은 맞는 내용입니다.
2)질문하신 p488의 4번을 잘 읽어보시면 결과적으로 유리를 고정시키는 것은 퍼티입니다,그런데 유리를 움직이지않게 한후 퍼티를 시공하기 때문에 일단 철사크립으로 고정(여기서는 가 고정임.)하고 퍼티를 시공하는 검니다,때문에 문제5번은 유리를 가고정하는 것은 못(퍼티못,세모못)이나 고정시키는 주재료는 퍼티가 되는검니다.참고하세요...질문하신 p496도 결과적으로 고정하는 주재료는 퍼티입니다.
3)예전에는 피복이 3cm로 봤기때문에 양쪽으로 3cm씩 6cm를 공제하여 0.34로 했는데요,0.32로 하셔도 됩니다,그런데 대부분의 문제는 3cm정도 공제하는 것으로 출제됩니다.
4)p553 책에 설명해 드린대로 복합단가(일위대가)는 /예)1m2의 미장을 하는경우 공사비를 재료비,노무비,또한 각종 해당되는 경비항목등으로 세분해서 표시하고 그것을 합산해서 표시하는 복합적인 단가를 말합니다./합성단가란 예)벽체의 경우 벽외부에서 내부 마감까지의 공사비를 합산한 검니다,이 비용은 벽체 전체공사비,보시공비,기둥,바닥판등 부분별로 공사비를 산정하는데 유리한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