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라미로 표현되는 이벤트에서 실선의 화살표 없이 단 하나의 더미만 발생하는 경우는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입니다.
오직 이 경우에만 해당작업의 여유시간 계산은 바로 다음의 이벤트에서 계산한다고 기억해두시고, 나머지 경우는 해당작업의 종료이벤트에서 여유계산을 합니다.
두번째 질문은 공정표를 작도하는 사람의 개인적 취향에 따라 화살표의 크기가 다를 때 결합점번호도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화살표의 크기를 같게 그리게 되었을 때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인 번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이 일반적인 모범답안이 될 것입니다.
굳이 관용을 베풀자면 결합점번호를 1,3,2로 해도 후속작업들의 일정 및 여유계산에 아무 지장이 없으므로 이벤트넘버링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다만, 시험이기 때문에 전자의 번호순서가 될 수 있도록 평소에 작도연습을 해두시길 권장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