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점>
(1)L.C.C : 건축물의 기획, 설계, 시공, 노후 등의 전과정에 대한 최적 비용을 고려한 전생애주기
(2)VE : V=F/C, 최저 비용으로 최적의 기능을 하는 것을 가치로 여기는 기법
2.<4점>
(1)페이퍼 드레인 : 구멍을 뚫고 페이퍼를 넣은 후 성토하중을 가해 지반을 압밀시켜 탈수함
(2)생석회 말뚝 : 구멍을 뚫고 석회를 부어 말뚝을 만든 후 성토하중을 가해 지반을 압밀 시켜 탈수함
3.<4점>
(1)히빙 파괴 방지 대책 : 흙막이벽을 경질지반까지 설치함
(2)보일리 파괴 방지 대책 : 차수공법으로 지하수위차를 낮춤
4.<4점> VE 사고방식 : 사용자 중심, 효율적 공법 선택, 최적의 기능,(1가지는 쓰지 못함)
5.<3점>레미콘 공장 선정시 확인 사항 : 현장과의 거리, 최적 비용, 시멘트 품종
6.<4점>백화현상의 방지 대책 : 우중시공 금지, 조적 후 뿜칠, 석회질이 적은 시멘트 사용
7.<3점>시어커넥터에 사용되는 볼트 명칭 : 앵커볼트
8.<4점>
(1)메탈 라스 : 표면에 금을 내어 그것을 당겨 만든 철물
(2)펀칭 메탈 : 다양한 모양을 내기 위해 구멍을 뚫은 철물
9.<4점>
(1)습식공법 : 철골의 내화피복을 위해 타설, 조적, 뿜칠 등을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는 공법
(2)타설 공법 : 경량 콘크리트/조적 공법 : 벽돌
10.<3점>깨진 석재를 붙일 수 있는 접착제 : 접착 모르타르
11.적산<6점>
콘크리트량은 맞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적산 문제에서 거푸집량 계산할 때, 보 옆, 헌치 옆까지는 맞게 했습니다. 그런데 보 밑 계산 시, 보 밑면과 헌치 면을 다음과 같이 따로 계산해버렸습니다.
(8.3-2)x0.5+√(0.3^2+1^2)x0.5x2=4.144,
총 거푸집량은 16.03m2나왔습니다. 혹시 틀렸다고 채점되는 걸까요? 아니면 부분 점수가 부여될까요?
가채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