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장*규 등록일 2020.12.21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목구조 보강철물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P,404 17번

     

    띠쇠는 ㅅ자보와 왕기둥 아닌가요?

    또한, ㄱ자쇠는 모서리기둥과 층도리 아님가요?

    모서리기둥이 통재기둥인 건가요?

     

    2. 턴키제도에서

    잦은 설계변경, 우수한 설계의도 반영 어려움, 건축주 의도 반영 어려움이 단점인데

     

    잦은 설계변경 (시공사와 설계사가 협의해서 최소공비 맞추려고 잦은 설계변경 하는 건가요?

    우수한 설계의도 반영 어려움 = 공사비 아끼려고 최대한 구조조건 맞추고 설계대로 시공하려고 우수한 설계의도는 안하고 건축주 의도반영도 묵살하고 본인들끼리 협의해서 맞추는 식인가요????

     

    3. 낙하물 방지망 조건에서

     - 낙하물 방지망과 비계 또는 구조체와의 간격은 25cm 이하라는데

       간격이 있으면 그 사이로 떨어져서 위험한 거 아닌가요? 애초에 구조체와의 간격이 없이 설치 돼야 안전에 있어서 좋다고 생각하는데, 어떤 점이 잘못된 생각인가요? 

     

     4. 콘크리트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 '쇄석을 사용하면 시공연도는 감소한다'라고 알고 있는데, 쇄석콘크리트처럼 부착력이 증가하여 시공하기 힘들어서 그런건가요 ? ? 

     추가로 부착력이 증가하니깐 강도는 증가하는 현상이 맞나요 ?

       = 쇄석을 사용하면 시공연도는 감소하지만, 강도는 증가한다.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틀린 점인가요 ? 

     

     

    감사합니다.

  • 한규대 |(2020.12.23 00:40)

    답변입니다:

    1)통재기둥은 건물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기둥이라서 ㄱ자 띠쇠가 사용이 되는 것이구요,,,그 사이에 들어가는 기둥이 평기둥이라서 이런 경우는 일자 띠쇠로 보강이 됩니다,,이 띠쇠는 왕대공하고 ㅅ자보에만 사용이 되는 것이 아니구요 상당히 많은 부위에 사용됩니다,,연귀맞춤 부위,기둥과 보가 맟춤되는부위등...

    2)이론적으로 턴키는 건축주가 요구하면 토지조달과 금융(공사비)까지 다 시공업체가 조달하기 때문에 시공업체의 부담이 상당히 증가하지요,,따라서 시공업체 입장에서는 대규모로 빌린돈(막대한 사업비)의 이자까지 생각하여,해당 프로젝트에서 최대 이윤을 추구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가만 놓아두어도 알아서 공기를 단축하게되는 것이고 신기술,시공법이 쓰이는 검니다.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로 건축주의도반영이 어렵다는 단점이 나오는 것이구요,또한 바꾸어서 생각하면 건축주가 하는 일이 하나도 없이 다 시공업체가 조달하므로 건축주의 발언권이 줄어들고, 의견반영이 어렵다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3)가설 표준시방서와 산업안전 보건법의 관련규정은 외부비계와 벽체사이는 틈이없이 설치하거나 안전망을 설치하고 그렇게 할 수없는 경우는 25cm이하의 간격으로띄 어서 설치하라는 취지의 규정내용 입니다..참고하세요...이번에 새로 개정되어 출간될 실기 시공책에는 그렇게 되어있습니다...

    4)쇄석은 일반 강자갈보다 불규칙한 모양이고,마찰각이 커서 마찰력이 커지므로 철근과의 부착강도,콘크리트의 부착강도,압축강도도 커집니다./*질문하신 것처럼 이해하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