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지금현제 2021년교재에서는 이부분을 삭제하고 시방서의 내구성기준으로 대체를 하였습니다,,,/*왜냐하면 시험에서는 안 다루는데,,이해하시기가 까다로워서 질문을 굉장히 많이 하시는 내용이어서요,,
1)시멘트를 많이 넣으면 물시멘트비는 작아집니다../동일 물시멘트비 라는것은 강도는 똑같다는 의미이구요,,이 상태에서 슬럼프값을 증가시키려면 모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켜서 유동성을 증가시키게 되는데요,이 경우 잔골재율이 커지고 실적률이작아지므로 단위수량과 시멘트량이 증가됩니다,,그래서 상대적으로 비경제적인 콘크리트가 되므로 되도록 슬럼프값은 작게 하는것이 유리하다는 검니다...
2)실제로 슬럼프 15cm이상에서는 모래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그러면 시멘트,물도 많이 사용이 됩니다,,,/*재료가 많이 들어가므로 실제로 슬럼프값이 15cm의 콘크리트보다는 18cm가 더 비쌉니다,,현실적으로../그리고 질문하신 것처럼 물시멘트비가 동일하더라도(강도는 같더라도) 단위수량과 단위시멘트량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는 잔골재가 증가되므로 슬럼프도 커지고,장기적인 수축,크리프도 상대적으로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