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거의 대부분의 구조 시험문제들은 소수점을 언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단위변환의 이유가 가장 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가령 기둥의 설계축하중 계산값이 100,000,000.318N 이라면 이것을 100,000.000318kN 으로 나타낼 수도 있고 100.000000318MN 으로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N으로 표현한 값과 kN 내지는 MN으로 표현한 값을 비교했을 때 소수점이 별 의미가 없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구조시험의 계산문제의 결과값은 적정 오차범위내의 값이면 산출근거를 보고 채점이 이루어지므로 소수점은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특정 지표들의 소수점 처리가 고민된다면 교재에 수록된 문제들의 정답의 범주를 따라 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