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수님, 안녕하세요?
20년도 건축계획 각권의 293p 하역장 질문드리려 합니다.
1. 외주하역장식에서, 외주는 수 육운이 편리하다. 라는 말의 의미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역장이 바깥쪽에 넓게 면하고 있어서 다른 방식들에 비해 운송이 편리하다 로 이해하면 될까요?
2. 중앙하역장식에서, 일기에 관계없이 하역할 수 있으나 채광상 불리하다 라는 설명이 있습니다. 하역장 그림 설명에서 굵은 테두리 선은 벽이 아니라 다른 것일까요? 사방이 다 뚫려있어서 중앙 방식이 유리한 것인지요? 그림만 봐서는 이해가 어려워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또, 하역 작업을 할때 채광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3. 분산하역장식에서, 소규모 창고의 경우 하역장이 분산되어있으면 더 불편하지 않을지 의문이 듭니다. 그림상에서는 굵은 선이 벽이라고 가정했을때 공간들이 구분되어있는걸로 보이는데요. 왜 소규모 창고에 적합한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