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건축계획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건축계획
글쓴이 유*주 등록일 2021.02.02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안녕하세요?

    건축계획 20년도 각권에서 질문드립니다.

    1) 306p 75번 문제(기계공장에서 인공조명시 중요하지 않은 조건은?)에서

      4번 보기 : 열이 생기지 읺도록 한다. 가 답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조명에서 열이 발생하면 화재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것 같은데요!

     

    2) 350p 29번 문제(중앙진료시설과 병원시설의 기능관계에서 옳지 읺은 것은?)에서,

        2번 보기를 외래부ㅡ서플라이센터ㅡ중앙진료부 라고 수정하면 맞는 선지가 되는 것일까요? 서플라이 센터는 병동부와 일절 연관이 없는 시설일까요?

     

    3) 354p 57번 문제(병원 건축계획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에서,

     1번 선지(분관식은 유럽에서 발달된 형태로 치료와 의사본위적 병원형식이다.)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의사본위적" 이라는 말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의사들이 진료활동을 수월하게 할 수있도록 집중하는 형식이라는 의미일까요?

     

    늘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병억 |(2021.02.02 16:30)

    안녕하세요? 건축계획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조명등에서 발생하는 열은 화재를 일으킬만큼의 열을 발산하지 않습니다. 공장에서는 조명등보다 기계들에서 열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인공조명을 설계할 때 필요한 조도를 확보하느냐, 현휘(눈부심)이 발생하지 않느냐 하는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며, 열에 의한 화재는 부차적인 문제입니다.

    (2) 서플라이센터는 공급부를 의미하며, 공급부는 급식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문제에서 제시된 중앙진료시설과는 관계가 없는 부분입니다.

    (3) 유럽에서 과거에 사용했던 분관식은 각 건물을 각 진료과별로 배치하며, 각 건물은 각 과별로 담당의사와 간호사로 구성되어 있고 해당 질환의 환자만 진찰 및 치료를 하는 진료실과 병실로 구성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각 과별로 건물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의 경우에는 그 건물에서만 머물게 되고 전담의료진에게 치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질환의 환자들과의 접촉이 없고 또한 병실에는 같은 질환의 환자들과 같이 생활하게 되어 동일한 간호서비스와 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치료와 의사본위적 방식"이라고 표현합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