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563구조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김*현 등록일 2021.02.22 답변상태 답변완료
  • 20년 책입니다.

     

    1. 563p 13번 해설 부분 이유가 궁금합니다.

     

    2. 564p 21번 22번에서 sn강재가 항복점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소설변형을 허용하응 설계를 한다는 건가요? 이 부분 이해가 어렵습니다ㅜㅜ

     

    3. 578p 오른쪽 부분에 조임길이에 더하는 길이이상의 고장력볼트를 사용하면 여유나사길이가 길어지는것 아닌가요?

     

    4. 583p 7번 문제답이 3번인것같은데 확인부탁드립니다.

     

    5. 618p 오른쪽에 비콤팩트단면이상의 판폭두께비를 나타내먄 국부좌굴에 대해 안정하다고 간즈한다고 돼있는데 판폭두께비가 콤팩트<비콤팩트<세장 순으로 커지고 안정성도 낮아지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안정하다고 간주하나요...? 세장은 안정하지 않은것같은데 이해가 어렵습니다 ㅜㅜ

  • 안광호 |(2021.02.25 14:19)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수많은 실험을 해보니 [동일 두께의 강재에서 강도가 높을수록 용접성이 저하]됨을 확인이 된다는 내용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2) 항복점이 높은 강재들은 인장강도점과의 간극이 좁아서 재료가 발휘할 수 있는 소성적인 능력이 저하됩니다. 쉽게 본다면 급격한 파단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적절한 항복점을 설정해서 인장강도점과의 간극을 넓히게 되면 재료가 발휘할 수 있는 소성적인 능력이 증가될 것이라는 의미 정도입니다.

    (3) 577페이지의 우측에 고장력볼트 연결부의 명칭과 관련된 그림과 내용을 접목시켜 보시기 바랍니다. 조임길이는 결국 접합판재의 두께입니다.

    (4) 그렇습니다. 정답을 3번으로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5) 비콤팩트 단면 이하 라고 해야 하며, 2021년 개정판에는 이상을 이하로 수정해놓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