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건축계획 공동주택 질문
질문유형 기타문의 > 건축계획
글쓴이 여*은 등록일 2021.03.03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공동주택 부분에서 아파트를 고층화할 경우 장점이 아닌 것 이라는 문제에에 보기인 답이 '단위면적당 건축비가 저렴하다' 인데, 당연히 고층화 되니 단위면적당 건축비는 비싸지만 가구당 건축비는 저렴합니다. 그럼 단독주택에 비해 고층화 할수록 경제적으로 이점 아닌가요?  문제와 그에 대한 답이 저 보기라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애초에 저런 보기가 왜 있는지 잘 이해가지 않습니다. 단위면적당 건축공사비가 비싸지지만 그게 단점은 아닌것 같아서요 

    2. 연립주택 문제에 지면에서 직접 각 가구에 들어 갈 수 있어야 한다 라는 보기가 맞는 답이던데 그럼 3층에 사는 세대가 공동 현관과 계단을 통하지 않고 지면에서 바로 연결된 계단 등을 통해 3층으로 출입할 수 있다는 의미인가요?

    3. 연립주택이 4층 이하의 공동주택으로 매층 다른 세대로 구성된다 가 맞는 보기인데 매층 다른 세대로 구성된다라는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메조넷이나 트리플렉스와 같이 1세대가 2~3층을 쓰는 것들은 연립주택에 포함되지 않는것인가요?

    답변 감사합니다

  • 이병억 |(2021.03.04 10:37)

    안녕하세요? 건축계획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아파트를 고층화할 경우의 장단점은 단독주택과 비교하는 내용이 아니며, 저층의 아파트와 고층 아파트를 비교하는 내용입니다.

    저층 아파트는 단독주택에 비해 대지비, 건축비,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고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지만, 고층 아파트인 경우에는 구조체의 건설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저층 아파트에 비해 단위면적당 건축비와 가구당 건축비가 증가하므로 단점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 지면에서 직접 각 가구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은 말씀하신대로 3층의 세대가 공동 현관과 계단을 통하지 않고 지면에서 바로 연결된 계단 등을 통해 3층으로 출입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러한 사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쉽게 이해가 가지 않으실텐데 외국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3. 메조넷형(복층형) 이나 트리플렉스형은 연립주택의 형식이 아니라 아파트의 입체적 형식입니다. 물론, 현실에서는 연립주택에서도 복층형을 적용하기는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아파트에 속하는 내용입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