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배수트랩 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설비 > 오호영
글쓴이 전*영 등록일 2021.03.05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재에 내용이 없는 부분의 설명 부탁드립니다.

     

    P111.  21번 1번 선지 . 배수트랩의 내부 치수가 동일한 s트랩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무슨  뜻인지요?

    P115.  56번  3번은 무슨 통기관인가요? 4번의 도피통기관이 있어서 루프통기관인가요? 아니면 공용 통기관인가요?

    P117. 66번 1번 선지. 신정통기방식에서 통기수직곽을 설치하지 않는다가 맞다는데, 배수수직관과 통기수직관이 다 있는 경우의 그림을 많이 보았는데 무슨 뜻인가요?

    P124.  5번 4번 선지. 배수수평관의 구배는 최소 1/200이상으로 한다가 맞나요? 배수관의 표준구배가 1/50~1/100인데 왜 1/200이상인가요?

    P124.  7번 3번 선지. 건물 내에서 피트 내 또는 가공배관은 피하고 지중배관한다가 틀렸다면 정확하게는 뭔가요? 

     

     

     

  • 오호영 |(2021.03.06 10:23)

    안녕하세요.

    한솔아카데미 강사 오호영입니다.

     

     

    p111, 기구마다 배수관의 구경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p115, ③루프 통기관

    p117, 신정통기방식의 경우 대기에 개구되어 있는 배관이므로 별도의 통기관은 설치하지 않는 다는 의미입니다.

    p124, 배수배관 구배는 질문 하신 표준구배가 1/50~1/100 맞으며, 배관의 간경에 따라 1/200을 최소 구배로 보고 있습니다. p118 표 참조

    p124, 건물에서 상부층의 배관은 별도의 피트(배관을 모아 놓은 공간)으로 배관을 하며, 가공은 배관 길이에 따라 접합 하고 가공해서 만들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