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적산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기사 프리패스반(1년) > 이병억
글쓴이 송*혁 등록일 2021.03.1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1. 2-56기본서 (2) 거푸집량 기둥부분에 (.3+.3)x2 곱하기2는 어떻게 나온건가요? 기둥이면 거푸집이 4개 보면 2개 하는게 아닌가요? 기둥이 2개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2. 그리고 2-60 예제 거푸집량 4x.4x4=6.4 이것은 어떻게 나온건가요? 앞단원에서 한거와 같이 밑에 기초판, 뿔형, 기둥 3가지로 거푸집량을 구하고 합해주는게 아닌가요?

     

    3.  2-68에 7번 하부부근 4.8÷0.3+1 중  0.3은어디서 나온건가요? @200이면 0.2 나눠야하는거 아닌가요?

     

    4.  보철근산출시 하부가 압축25d 상부가 인장40d로 보고 계산하라고 했는데, 필기때 건축구조에서 상부가 압축근 하부가 인장근이라고 배운거 같은데 다른건가요? 좀 헷갈려서 궁금합니다..

     

    5. 적산 문제들이 80 90년대 기출은 안해도 되는건가요? 적산10점짜리는 요즘 안나오는거 같은데.. 이것도 해야하는지요? 근 10~15년치만 봐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이병억 |(2021.03.15 10:44)

    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2-56 예제문제

    (0.3+0.3)×2는 기둥의 둘레길이입니다. 기둥의 둘레길이는 0.3×4로 계산하셔도 됩니다.

    (2) 2-60 예제문제

    문제의 기초에서는 푸팅부분의 경사도가 2 : 1 미만이므로 푸팅부분의 거푸집량은 산정하지 않습니다. 또한 기둥의 거푸집량도 산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기초판 부분의 거푸집면적만 산정한 결과가 되겠습니다.

    (3)  2-68 예제문제

    문제에서 주근의 배치간격은 @300이며, 부근의 배치간격은 @360으로 되어 있습니다. 도면을 다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보 철근의 인장과 압축의 관계는 단부냐, 중앙부냐에 따라 다릅니다.

    단부에서는 상부가 인장력을 받고, 하부가 압축력을 받습니다. 또한 중앙부에서는 상부가 압축력을 받고, 하부가 인장력을 받습니다.

    보에서 철근의 정착길이를 계산할 때는 기둥과 만나는 단부에서의 정착길이를 계산하는 것이므로 단부의 상황을 보고 계산하여야 합니다.

    2-64의 그림. 철근의 인장, 압축관계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말씀하신대로 오래된 문제들은 보실 필요가 없으며, 10년치 정도만 공부하시면 되겠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