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축적산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2-56 예제문제
(0.3+0.3)×2는 기둥의 둘레길이입니다. 기둥의 둘레길이는 0.3×4로 계산하셔도 됩니다.
(2) 2-60 예제문제
문제의 기초에서는 푸팅부분의 경사도가 2 : 1 미만이므로 푸팅부분의 거푸집량은 산정하지 않습니다. 또한 기둥의 거푸집량도 산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기초판 부분의 거푸집면적만 산정한 결과가 되겠습니다.
(3) 2-68 예제문제
문제에서 주근의 배치간격은 @300이며, 부근의 배치간격은 @360으로 되어 있습니다. 도면을 다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보 철근의 인장과 압축의 관계는 단부냐, 중앙부냐에 따라 다릅니다.
단부에서는 상부가 인장력을 받고, 하부가 압축력을 받습니다. 또한 중앙부에서는 상부가 압축력을 받고, 하부가 인장력을 받습니다.
보에서 철근의 정착길이를 계산할 때는 기둥과 만나는 단부에서의 정착길이를 계산하는 것이므로 단부의 상황을 보고 계산하여야 합니다.
2-64의 그림. 철근의 인장, 압축관계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말씀하신대로 오래된 문제들은 보실 필요가 없으며, 10년치 정도만 공부하시면 되겠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