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정정차수 N을 구하는 보편적인 방식은
(1) N = r+m+f-2j ,,, 여기서 r은 지점반력수, m은 부재수, f는 강절점수, j는 지점과 자유단을 포함한 절점수
(2) N = N_e + N_i ,,, 여기서 N_e = r-3 으로 표현되는 외적차수, N_i = -(구조물의 힌지의 갯수)+(구조물의 보강의 여부) 로 표현되는 내적차수
위의 두가지 방식이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이며, 학생께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어떤 논리체계로 문제해결이 되는지를 채점관이 알 수 없을 경우 그에 따른 불이익은 수험생의 몫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