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건축시공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박*도 등록일 2021.03.28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궁금한 것들이 있어 질문 올립니다.

     

    1. 건식공법 사용 시 건물의 자중을 줄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 혹시 강도 때문이라면 접합부 연결에 사용되는 철물들로 인해 오히려 늘어날 일은 없나요?)

     

    2. CALS와 PMIS 둘다 개념상 건축의 전 과정에 대한 전산시스템화 인것 같은데

        둘의 정확한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3. page5 학습포인트(20년도 교재 기준입니다) 감리자의 업무에

       공사비 내역 명세의 조사, 공사비 지불에 대한 조서 작성이 있는데

       비용관련하여 감리자는 공사비가 잘 사용되었는지 '조사'의 역할외에는 없는건가요?

       (위 내용과 관련해서 '감리자의 업무 : 공사비 내역 명세의 관리' 라고 나오면 틀린 선지 맞나요?

  • 한규대 |(2021.03.29 23:25)

    답변입니다;

    1)건식공법(석재,타일,콘크리트pc등)을 하면 습식에서와 같이 몰탈을 사춤해서 시공(결합,연결)하지않코, 연결철물(패스너)을 이용하던지 아니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 자중(중량)이 감소될 수 있고,또한 건식공법을 한다는 것은 주로 공장제작 제품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콘크리트 pc인 경우)공장에서 다량으로 제작하면 프리스트레스공법을 이용하여 장스팬에 부재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도 있기때문에 자중을 감소할 수 있고 또한 고품질화,장스팬화가 가능한 검니다..

    2)칼스는 건설산업 전체를 그 대상으로 하는검니다,,(예를 들어서 건설업자를 국가의 여러 프로젝트에서 연속적으로 조달할 수 있게 전자입찰제도를 운영하여 전 건설업체가 참여,이용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것등,)/*거기에 비해서 pmis는 그 프로젝트(사업)에 참여하는 관련자가 이용 가능하게 만든 종합 공사관리 시스템을 말합니다..

    3)실무현장에서는 건설업자가 기성(댓가:완성된 부분까지 건설업자가 받아야할 돈)을 청구하려면 현실적으로 감리자,감독자의 확인, 날인이 들어간 기성 청구서류를 작성해서 계약서에 나와있는 절차에 따라서 건축주에게 청구해야 합니다../*또한 설계변경이 있거나 공사비 변경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그렇게 합니다,,참고하세요..그러니 감리자의 역할이 많이 있지요...괞히 월급받고 감리해 주는것은 아닙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