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시공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박*도 등록일 2021.03.29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궁금한 사항 질문드립니다.

     

    1. 교재 p11(20년) 직영공사의 특징에

       '단가를 정하기 곤란한 경우' 와
       '임기응변 처리가 가능' 이라는 것은 각각 어떤 상황인가요 ?

     

    2. 공사실시 방식에 따른 도급공사 분류에서

        일식도급에 비해 분할도급에서 건축주와 설계도서의 의도가 잘 이행되고, 의사소통도 

        잘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오히려 건축주가 일식도급에서는 한 업체와 소통하면

        되므로 더 좋아야 하는것 아닌가요?

     

    3. 턴키도급방식에서

        '공법의 연구개발, 기술개발'과 '우수한 설계의도의 반영'은 같은 맥락이라 생각되는데

        기술개발은 촉진되고, 설계의도는 반영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

     

    4. 턴키도급방식이 다른방식에 비해 입찰시 비용이 과다 소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5. 업무범위에 따른 계약방식에서

        CM 방식과 PM 방식이 크게 달라보이지 않는데, 구분점이 있을까요 ?

     

    6. BTO 방식과 BTL 방식에서 Operate와 Lease는 큰 차이가 없어보이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 

     

    7. 교재 p18 (20년 교재) 문제 15번 
        공사감독이 비교적 용이하다도 답이지 않나요 ?

     

    8. 교재 p21 (20년 교재) 문제 28번 2번선지

        일식도급은 공사비 증대가 아니라 공사비 절약노력 있지 않나요?

  • 한규대 |(2021.03.30 01:10)

    답변입니다:*먼저 죄송한데요,앞으로는 질문을 너무 한꺼번에 많이 안해 주셨으면 감사 하겠네요,,/*그리고 지금 질문하시는 내용을 보니까 강의를 수강 안하시는분같네요,,제가 강의에서 다 설명을 드리는 부분인데요,,,

    1)건축주 자신의 집(건물)을 자신이 직접 건축하는 경우가 직영입니다./설치비용이 너무 많이 들거나 또한 이윤이 많이 안남는 자신만 선호하는 자재,설비나 조경등을 건축주가 어떠한 댓가를 치르더라도 설치한다거나 또한 마음에 들지않는 자재를 교체하거나 색상등을 바꾸거나 이미 시공한 부분을 마음에 들때까지 교체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일식도급자는 가장 빨리,가장 싼가격의 자재와 장비,일정으로 시공을 수행해야 이윤이 극대화 되겠지요,,그래서 전문지식이 없는 건축주는 경험이 많은 업자에게 휘둘릴 수 밖에 없는검니다,,예)자재 하나도 품질과 가격이 찬차 만별인데 우리나라 시방서와 설계도면은 그냥 외벽마감은 적벽돌 치장쌓기로 표시되어 있거든요,,현실적으로요,,그리고 이런 경우는 감리자도 한사람 입니다./그런데 분할도급은 갈리,감독자가 증가됩니다,,감리비도 증가 합니다만,그만큼 건축주와 시공자간의 의사소통이 많이 개선되구요,

    3)턴키는 책에는 없지만 /신기술,신공법을 장려하기위해서 고기술,고난도의 공사에서 발주하여 업체의 기술개발을 촉진,유도 하기위한 제도이구요,,,/일식도급보다 헐씬 시공자의 업무범위가 늘어나므로 마찮가지 업체의 최대이윤 추구로 우수한 설계의도의 반영이나,건축주의 의도반영이 어렵습니다,현실적으로요,,,

    4)턴키는 대부분 대형,복합프로젝트나 국제적으로 여러국가가 연괸된 대형 프로젝트가 많습니다../예)우리나라가 고속전철(ktx)의 업체를 선정하는데만 5년 걸렸습니다.입찰비용(설계비용 제외)은 500억 이상이 들어갔구요,,건설비와 열차 제작비까지 총 57조원이 들어 갔습니다../*때문에 국제적으로 턴키를 발주하는 업체나 국가는 입찰비용을 보조해 줍니다./그 만큼 여러 조껀과 설계,발주,감리,감독,사업자금조달 협의,세부사항 협의,설계변경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검니다./.교과서에서 이론은 간단히 다루고 넘어가지만..

    5)실무와 이론의 차이가 크고, 또한 PM은 기술사에서만 출제가 되구요,,기사에서는 시험에 안나오니 잊으셔도 됩니다..설명드릴것이 너무 많습니다..

    6)BOT와 BTL은 완전히 다른 방식인데요...p14 맨밑에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7)경쟁입찰에 정액도급이니까,,,/경쟁에 의한 공사비절감이 가장 큰 장점 이겠지요,,,

    8)질문하신 2번 지문에서 공사비가 증가된다는 측면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행해지는 계약방식인 일식도급은 도급받은 원래의 업체가  시공하지 않코,하도급을 주는 관행때문에 노무자의지불금이 작게된다는 의미의지문입니다,,참고하세요.../*마찮가지로 이 내용은 제가 문제풀이때 다 설명 해드리는 내용인데요.../

    *지금 20페이지 학습하시고 질문이 이정도 된다면,600페이지를 다 학습하실때까지 엄청난 질문을 하실것으로 추정이 되는데요,,,/*차라리 제가 개인적으로 강의를 해드리는 것이 나을것 같은 생각이 드니까요,,앞으로 질문을 모아놓으셨다가 저하고 통화해서 해결하는 것이 좋을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질문하실때 전화번호와 통화가능한 시간을 알려주시면 제가 전화로 통화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