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장*규 등록일 2021.03.3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1. 트러스 구조랑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는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구조로 건축할 수 없다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가 생소해서 구글링해서 이미지 찾아봤는데 트러스랑 비슷하게 느껴지는데, 차이도 알 수 있을까요?

     

    2. 점토질 지반에서 흙의 내부마찰각이 같은 경우 점착력이 클수록 토압이 작아진다

     -> 점착력이 크면 토압이 왜 작아지나요? 더 옹기종기 모일 수 있어서 토압 견디기에 수월할 거 같은데 궁금합니다 ㅎㅎ

     

    3. 기초판 형식에 의한 기초구조 분류는

     독립/연속/복합/온통기초가 있는데

     

    연약지반에 대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를 때 독립기초를 적용하면 안 된다고 합니다. 이 때 말뚝기초는 적용이 가능하다고 해서 두 개의 차이가 무엇인 지 궁금합니다.

     

    4. 3번에서 질문한 내용과 중복되는데, 독립기초 말고 복합이나 온통, 연속은 적용해도 되는지요??

     

    5. 기초판 형식에 의한 분류 = 독립/연속/복합/온통

        기초판 지정 형식상 분류 = 피어/직접/말뚝/잠함

    -> 이렇게 구분하면 되는 건가요 ㅎㅎ? 

     

    감사합니다.

  • 안광호 |(2021.04.02 14:01)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스페이스 프레임을 입체트러스구조라고도 합니다. 트러스구조로 장스팬을 해결하려는 구법이라고 보면 될 것이며,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일체식 구조이고 부재와 부재가 만나는 절점이 강절점이므로 트러스구조의 절점은 활절점과 대별됨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2) 주동토압이 작아진다라고 해야 올바른 지문이 될 것이며 수동토압일 때는 반대가 될 것입니다. 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토질역학의 토압이론에 관한 식이 필요한데 간단히 이야기하면 주동토압은 점착력과 반비례의 식으로 나타납니다.

    인터넷상에서 검색을 해보시거나 시중 도서관이나 서점에 비치된 토질역학 이론 교과서들을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3) 지금 기사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분이 아니신 것 같습니다. 시험문제는 어차피 사람이 출제하는 것이므로 필연적으로 주관적인 생각이 개입되기 마련이고 그렇지 않더라도 어투에 의해서도 의미가 변하기 마련입니다.

    온통기초를 제외하면 연약지반에 모두 적합하지 못하다 정도가 가장 합리적인 답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초판 형식에 의한 분류와 지정 형식에 의한 분류는 일반적인 이론으로 잘 분류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드릴 설명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