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안녕하세요, 교수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장*규 등록일 2021.04.1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항상 깊은 지식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1.

    용접결함의 종류에 대한 원인들 질문입니다.

     

    1. 용접속도(=운봉속도)가 느린 경우 : 슬래그 감싸들기

        용접속도가 빠른 경우 : 언더컷, 용입부족, Crack(과대속도 시 Bead가 갈라짐)

                                                                   └>여기서 말하는 Bead는 무엇인가요?

     

    2. 과대전류 : 언더컷, Crack, Crater

        과소전류 : 오버랩, 용입부족

    헷갈리는 것들 정리해봤는데, 틀린 부분 있으면 수정 부탁드립니다 !

     

    질문2.

    탄성좌굴응력(Fcr)을 구할 때 Pcr 값은 작은 값이 지배되며, 그 값으로 책정하는데

    횡구속에 가장 유리한 조건은  Pcr 값이 가장 큰 것을 고르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어느것은 작은값, 어느 것은 큰 값.

    혼란이 옵니다..

     

     

     

     

     

     

    감사합니다.

  • 안광호 |(2021.04.16 15:49)

    안녕하세요,,,

    (1) 비드(bead): 용접봉이 1회 통과할 때 부재 표면에 용착된 금속층을 말합니다.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마요네즈나 케찹을 음식물 위에 한번 짜내었을 때를 연상하면 될 듯 합니다.

    전류의 과대 및 과소에 관한 내용은 잘 정리된 듯 합니다만 시공 교수님들께 질문하시는 것이 전문적인 답변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2) 부재의 길이와 단면2차모멘트를 강축과 약축에 대해 각각 적용합니다.

    좌굴하중이 크다는 것은 왠만한 하중에 대해서는 좌굴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좌굴하중이 작다는 것은 작은 하중에 대해서도 좌굴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므로 강축과 약축에 대한 계산값 중 안전측의 의미로 작은값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기둥과 같은 압축부재가 횡구속에 유리하다는 것은 횡방향의 좌굴발생이 안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여러가지 비교대상이 있다면 좌굴하중이 크게 산정되는 경우를 의미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