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j의 값은 지점 또는 절점 개수합으로서 지점을 중복하여 산정하지 않아야 합니다.
2. 판별식에서 0 정정으로 나왔는데 구조상 힘(p)을가하면 찌그려진다고 설명하셨는데, 저는 왼쪽의 가새가 잡아줄것 같은데, 이런경우 정확한 판별은 없나요? 감으로 해야되나요? --> 답변) 이런 오류를 잡기 위해 기하학적 판별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임의의 힘을 작용시켜 이동, 회전, 형태변형이 발생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정확한 판정을 할 수 있습니다.

1. 이 구조가 궁금합니다 힌지가 있는 부분은 강절점입니다. 그럼 겉도는 힌지는어디에 연결되는건가요? 어떤 구조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 답변) 그림에서 직선으로 펼펴진 부재는 끊김이 없이 180도 각도로 연결된 강절점이며 이 직선부재 내측에서 접합되는 경사부재는 핀절점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1. 지점이 있는 부분들의 부재들은 왜 강절점이 아닌가요? 각각 지점의 다른 부분에 접합되는건가요?
---> 절점의 구분은 2개 이상의 부재가 만나는 점이며 강절점과 핀절점으로 구분됩니다. 본 문제에서는 지점에서 2 또는 3개의 부재가 만나고 있으나 그 접합된 절점이 동그라미로 표현되어야 하나 그림에서 미표기 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림에 오류가 있어 죄송합니다.

1. 여기서 전단력이 왜 v이고v+dv이고 모멘트의 경우에도 m이고 m+dm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보에 등분하중이 작용할 경우 전단력과 휨모멘트는 변화되는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한 내용으로서 증가될 수도 있고 감소될 수도 있기에 상기와 같이 수식으로 반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