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콘크리트 폭렬 현상 방지 대책 2가지
: 내화 피복을 실시하여 열의 침입을 차단한다 , 흡수율이 낮고 내화성이 좋은 골재 사용한다.
2. 콘크리트 응결 경화 시 콘크리트 온소 상승 후 냉각하면서 발생하는 온도 균열 방지 대책
: 저열 시멘트 사용 , 선행 냉각 및 파이프 냉각을 사용하여 온도균열을 한다, 단위시멘트량 감소한다.
6. 토압계 : 버팀대의 단부
하중계 : 토압측정위치의 자중에 설치
변형률계 : 버탬대의 중앙부
경사계 : 인접구조물의 골조 또는 벽체
8. 샌드드레인 공법
:지반에 지름 40~60cm 정도 구멍을 뚫고 모래를 넣은후 성토 및 기타 하중을 가하여 점토지반의 압밀하여 탈수하는 공법
15. 목공사에서 방부 처리법 3가지
:주입법 : 압력용기속에 목재를 넣어 고압하에서 방부제를 주입 하는 방법
:침지법 : 방부제 용액 목재를 몇시간 또는 몇일 동안 침지하는 방법
:표면 탄화법 : 목재 표면을 3~10mm 태워서 탄화시키는 방법
18. 백화현상 방지대책
:흡수율이 낮고 소성이 잘된 벽돌 사용 , 처마나 차양 설치하여 빗물 차단 , 벽체 표면에 발수제 첨가 및 도포 , 줄눈 모르타르에 방수제 첨가
14. 벽돌쌓기 시 줄눈은 ( 가 ) mm로 하고 도면 또는 공사 시방서에서 정한바가 없을때는 영국식이나 ( 나 ) 쌓기법으로 하며 1일 벽돌량 쌓기 높이는 ( 다)가 표준이며 최대 쌓기 높이는 (라) 이고 벽돌벽이 블록벽과 서로 직각으로 만날 때에는 연결철물을 만들어 블록 ( 마) 단마다 보강 철물로 보강한다
가 : 10 나 : 화란식 다 : 1.5 라 : 1.8 마 : 3
10. 탄성죄굴 문제
해설에 lx,ly를 비교 안하고 바로 ly값을 썼는데 답안처리에 오류가 있을까요?
답은 맞았습니다
교수님 정답으로 인정되는 것과 부분점수로 될수 있는게 있을까요 ?
교수님 답안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