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015-1회 내용 중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10개년건축기사
글쓴이 강*진 등록일 2021.08.02 답변상태 답변완료
  •  

     

     

    4. 보기1 모서리 쪽 기둥 간격 넓혔다. -> 모서리쪽이란 가장자리를 말하는 것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보기2번의 선지를 이해한것과 맞지 않는데, (보기2번은 중앙부를 넓힘) 어떻게 된건가요..?

    보기2 기둥의 전체적인 윤곽을 중앙부에서 약간 부풀게 만들었다. -> 맞게 이해한 것이 맞나요?

    보기3 기둥같은 수직부재 올라가면서 약간 안쪽으로 기울었다. -> 이 그림과 같은 형상으로 이해한것이 맞죠?

    보기4) 기단, 아키트레이브, 코니스 등이 이루는 긴 수평선들을 약간 위로 불룩하게 만들었다. 그림의 초록색 방향처럼 위로 퍼졌다는게 아니라 직선으로 된 가로 선들이 위쪽으로 볼록 한 곡선이라는 의미 이죠?

     

    13. 진입도로, 기간도로 - 진입도로와 기간도로에 대해 제대로 이해한 것이 맞나요?

     

    16. 3) 교실배치의 융통성 

    -한솔 빨간책 건축계획에서는 ‘광범위한 교과내용이 변화하는데 대응할 수 있는 융통성’ 을 원인으로 해결 방법을 융통성 있는 교실의 배치라고 나와있던데, 교과내용의 변화와 교실의 융통성있는 배치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22. 2) 겹침의 두께가 작으면 물매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 무슨 의미일까요? 물매가 네모난 거고 겹침의 두께를 올바르게 이해한 것이 맞나요?

     

     

     

    24. 2) 경화, 건조 시 치수 안정성과 내화성이 뛰어나다. -> 치수 안정성이라는게 수축이 거의 없다는 건가요?

     

    42. P의 부호가 -아닌가요… ?

     

    49. 보기4) 현장타설콘크리트 말뚝의 측면경사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은 30’이하로 한다. -> 측면경사는 어디를 말 하는 건가요?

     

    53. ‘회정저항에 유연’ 하다는 말은 회전저항과 무관하다는건가요?

    그리고 전단접합부에 대한 해설에 ‘모멘트를 전달하지 않거나 무시할 정도의 모멘트를 전달’ 이라는 말이 모멘트가 적거나 없다는 말인가요?

     

    59. 보기1) A-B구간에도 등분포하중 1kN/m가 작용한다 -> 맞는 보기인데, 이거 A-B구간의 삼각형 하중만 따로 등분포로 치환되는 건가요?

    보기4) 양단부 지점 반력은 어떻게 4kN이 각각 나올까요,, C-D구간의 해석법도 자세히 설명해 주시면 감사합니다..

    82.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구조에 관한 기준에서 옥내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 승강기 1대에 대하여 6제곱 이상으로 ,

    ‘옥외는 예외’ 라고 (빨간기본서에) 명시되어있는데 예외라는 것의 의미가 옥외에서는 6제곱이 아니어도 된다는 거죠?

     

    91. 리모델링이 쉬운 구조에(1) 각 세대는 인접한 세대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통합하거나 분할 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수직은 1층, 2층 과 같이 층간 통합, 수평은 옆집간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 맞나요?

     

    99. 정북방향 인접대지 경계선이라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대지 안의 건축물을 기준으로 정북쪽으로 떨어 진 방향이 아닌거같은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 안광호 |(2021.08.07 14:25)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쪽으로 멀어지는 것을 모서리기둥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가운데의 기둥들의 간격들보다 모서리쪽으로 갈수록 기둥간격이 좁아지게 처리하였습니다.

    2번보기와 3번보기는 수직의 기둥부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수직의 기둥부재가 가운데가 불룩하게 배가 나온형태로 흔히 배흘림(=엔타시스)처리를 한다고 표현합니다.

    기둥위를 아키트레이브, 코니스라고 하며 기둥 아래를 기단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수평의 부재들이 아래로 휘어져보이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약간 위로 휘어지게 처리하였다는 의미입니다.

    (2) 기간도로는 보행자 및 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라는 한자식 표현이고 진입도로는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기간도로를 연결하는 도로의 의미입니다.

    (3) 수업은 아동 및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교육과정을 선택하며, 그 단계순서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개되는데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교과과정(Curriculum)이라고 합니다. 교과과정 뿐만아니라 학생들 각자의 자유로운 생활이 실현될 수 있는 공간으로 교사 및 교실이 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시설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데, 실내체육관이나 운동장은 당연히 교육공간의 연장이고 급식시설, 복도, 계단 등도 학생의 생활공간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정도의 의미가 될 것입니다. 교실에서의 활동을 표함한 전반적인 학습활동은 학교전체에서 행해지고 일부 특별한 학습활동은 교외에서까지도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습니다.

    (4) 그렇습니다. 잘 이해하고 계십니다.

    (5) 경화나 건조는 비슷한 의미이고 수분 등이 제거되어 체적이 줄어들게 되면 치수의 변화는 필연적인데, 일반적으로 철의 경우는 경화 건조시 수축이 거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의미입니다.

    (6) 질문의 의도를 알 수가 없군요.

    (7) 수직으로 똑바로 말뚝이 서있다면 측면경사는 없는 것이고, 수직으로 똑바로 서있지 못하고 삐딱하게 되어 있는 정도를 측면경사로 표현합니다.

    (8) 회전저항에 유연하다는 표현은 잘 회전되는 곳이라는 의미입니다.

    모멘트를 전달하지 않거나 무시할 정도의 모멘트를 전달하는 접합에서,,,모멘트는 회전력의 의미이므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거나 무시할 정도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접합에서로 의미를 알아갈 수 있겠습니다.

    (9) 해설에 제시된 하중과 지점반력을 문제의 그림상의 전단력도와 서로 매치시키려면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한데, 가지고계신 교과서의 전단력도와 휨모멘트도를 그리는 부분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10) 그렇습니다.

    (11) 그렇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12) 자신이 살고 있는 대지에서 나침반을 보고 N쪽을 가리키는 곳이 정북방향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