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보기1 모서리 쪽 기둥 간격 넓혔다. -> 모서리쪽이란 가장자리를 말하는 것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보기2번의 선지를 이해한것과 맞지 않는데, (보기2번은 중앙부를 넓힘) 어떻게 된건가요..?
보기2 기둥의 전체적인 윤곽을 중앙부에서 약간 부풀게 만들었다. -> 맞게 이해한 것이 맞나요?
보기3 기둥같은 수직부재 올라가면서 약간 안쪽으로 기울었다. -> 이 그림과 같은 형상으로 이해한것이 맞죠?
보기4) 기단, 아키트레이브, 코니스 등이 이루는 긴 수평선들을 약간 위로 불룩하게 만들었다. 그림의 초록색 방향처럼 위로 퍼졌다는게 아니라 직선으로 된 가로 선들이 위쪽으로 볼록 한 곡선이라는 의미 이죠?
13. 진입도로, 기간도로 - 진입도로와 기간도로에 대해 제대로 이해한 것이 맞나요?
16. 3) 교실배치의 융통성
-한솔 빨간책 건축계획에서는 ‘광범위한 교과내용이 변화하는데 대응할 수 있는 융통성’ 을 원인으로 해결 방법을 융통성 있는 교실의 배치라고 나와있던데, 교과내용의 변화와 교실의 융통성있는 배치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22. 2) 겹침의 두께가 작으면 물매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 무슨 의미일까요? 물매가 네모난 거고 겹침의 두께를 올바르게 이해한 것이 맞나요?
24. 2) 경화, 건조 시 치수 안정성과 내화성이 뛰어나다. -> 치수 안정성이라는게 수축이 거의 없다는 건가요?
42. P의 부호가 -아닌가요… ?
49. 보기4) 현장타설콘크리트 말뚝의 측면경사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은 30’이하로 한다. -> 측면경사는 어디를 말 하는 건가요?
53. ‘회정저항에 유연’ 하다는 말은 회전저항과 무관하다는건가요?
그리고 전단접합부에 대한 해설에 ‘모멘트를 전달하지 않거나 무시할 정도의 모멘트를 전달’ 이라는 말이 모멘트가 적거나 없다는 말인가요?
59. 보기1) A-B구간에도 등분포하중 1kN/m가 작용한다 -> 맞는 보기인데, 이거 A-B구간의 삼각형 하중만 따로 등분포로 치환되는 건가요?
보기4) 양단부 지점 반력은 어떻게 4kN이 각각 나올까요,, C-D구간의 해석법도 자세히 설명해 주시면 감사합니다..
82.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구조에 관한 기준에서 옥내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 승강기 1대에 대하여 6제곱 이상으로 ,
‘옥외는 예외’ 라고 (빨간기본서에) 명시되어있는데 예외라는 것의 의미가 옥외에서는 6제곱이 아니어도 된다는 거죠?
91. 리모델링이 쉬운 구조에(1) 각 세대는 인접한 세대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통합하거나 분할 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수직은 1층, 2층 과 같이 층간 통합, 수평은 옆집간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 맞나요?
99. 정북방향 인접대지 경계선이라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대지 안의 건축물을 기준으로 정북쪽으로 떨어 진 방향이 아닌거같은데 설명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