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보기1) 트리플렉스형이 공용이 더 많은 것 같은데 어떻게 듀플렉스형이 더 공용부분이 많을까요?
보기2) ‘메조넷형에서 통로가 없는 층은 채광 및 통풍 확보가 가능하다’ 라는 것은 아파트의 평면 형식상 분류에서 편복도형은 복도폐쇄시 통풍, 채광이 불리해지는데, 메조넷형에서는 통로가 없는 것은 같은데 어떻게 채광, 통풍 확보가 가능한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복도가 있어서 통풍, 채광이 좋아지는 것 같은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보기3) 플랫형은 평면구성의 제약이 적다는 것의 의미가 여러 모양, 여러 형식의 평면 구성이 가능하다는 말인가요?
18. 보기1) 작업면이 가장 넓은 배치유형으로 작업 효율이 좋다-> ㄱ자형에 대한 설명인가요?
보기3) 폭이 길이에 비해 넓은 부엌의 형태에 적당한 유형이다 -> 직선형은 왜 해당이 안될까요..?
66. 보기2) 병렬회로에서는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같다 (틀린선지) -> 어떻게 고쳐야 맞는 건가요?
69. 물과 오리피스가 분리되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로 정의되는 것은? 이라는 문제내용에서 ‘오 리피스’라는 것은 관쪽에 있는 어떤 열리고 닫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인가요?
74. 보기1) 차동식 감지기에 대해, 화기를 취급하지 않는 ‘부착높이 8m’ 미만 이라는 설명에서 층고가 3-4m일 때 부착높이가 바닥에서 8m가 될 수가 없는 것으로, 층고가 8m이상인 공간이 그렇게 많지 않을 것 같은데, 만일 8m 라 할지라도 꼭대기에 설치하는 것이 되고요. ‘부착높이 8m’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76. 보기1) ‘오버헤드가 작다’ 에서 오버헤드란 건물의 옥상층에 엘레베이터로 인해 튀어나온 부분이고, 그 부분이 작은 이유는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위쪽에 로프가 없어서 그런것이 맞나요?
보기3) 큰 적재량으로 승강행정이 짧은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 에서 승강행정이 짧은 경우 유압식 엘리베이 터에서는 적당한 방식이다 라고 해설이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큰 적재량’ 은 유압식 엘리베이터과 일치하는 설명인가요?
78. 보기4) ‘수직온도분포’가 균일하고 실내가 쾌적하다 -> 내용에서 수직온도 분포가 균일하다는 것은 온도의 오 름, 내림 (상하변동)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나요?
80.공기조화방식 중 전공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보기인 ‘1)중간기에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에서 ‘중간기’는 무엇을 의미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