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015-2회 내용 중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10개년건축기사
글쓴이 강*진 등록일 2021.08.02 답변상태 답변완료
  • 16. 보기1) 트리플렉스형이 공용이 더 많은 것 같은데 어떻게 듀플렉스형이 더 공용부분이 많을까요?

    보기2) ‘메조넷형에서 통로가 없는 층은 채광 및 통풍 확보가 가능하다’ 라는 것은 아파트의 평면 형식상 분류에서 편복도형은 복도폐쇄시 통풍, 채광이 불리해지는데, 메조넷형에서는 통로가 없는 것은 같은데 어떻게 채광, 통풍 확보가 가능한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복도가 있어서 통풍, 채광이 좋아지는 것 같은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보기3) 플랫형은 평면구성의 제약이 적다는 것의 의미가 여러 모양, 여러 형식의 평면 구성이 가능하다는 말인가요?

    18. 보기1) 작업면이 가장 넓은 배치유형으로 작업 효율이 좋다-> ㄱ자형에 대한 설명인가요?

    보기3) 폭이 길이에 비해 넓은 부엌의 형태에 적당한 유형이다 -> 직선형은 왜 해당이 안될까요..?

     

    66. 보기2) 병렬회로에서는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같다 (틀린선지) -> 어떻게 고쳐야 맞는 건가요?

     

    69. 물과 오리피스가 분리되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로 정의되는 것은? 이라는 문제내용에서 ‘오 리피스’라는 것은 관쪽에 있는 어떤 열리고 닫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인가요?

     

    74. 보기1) 차동식 감지기에 대해, 화기를 취급하지 않는 ‘부착높이 8m’ 미만 이라는 설명에서 층고가 3-4m일 때 부착높이가 바닥에서 8m가 될 수가 없는 것으로, 층고가 8m이상인 공간이 그렇게 많지 않을 것 같은데, 만일 8m 라 할지라도 꼭대기에 설치하는 것이 되고요. ‘부착높이 8m’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76. 보기1) ‘오버헤드가 작다’ 에서 오버헤드란 건물의 옥상층에 엘레베이터로 인해 튀어나온 부분이고, 그 부분이 작은 이유는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위쪽에 로프가 없어서 그런것이 맞나요?

    보기3) 큰 적재량으로 승강행정이 짧은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 에서 승강행정이 짧은 경우 유압식 엘리베이 터에서는 적당한 방식이다 라고 해설이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큰 적재량’ 은 유압식 엘리베이터과 일치하는 설명인가요?

     

    78. 보기4) ‘수직온도분포’가 균일하고 실내가 쾌적하다 -> 내용에서 수직온도 분포가 균일하다는 것은 온도의 오 름, 내림 (상하변동)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나요?

     

    80.공기조화방식 중 전공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보기인 ‘1)중간기에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에서 ‘중간기’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 안광호 |(2021.08.07 15:15)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계단의 그림을 그리셨는데, 계단이 우리집만 사용하느냐 옆집과 공유를 하느냐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옆집과 공유한다면 공용면적이고 옆집과 공유하지 않는다면 공용면적이 아닐 것인데, 그리신 그림은 우리집 계단을 3층형으로 구성한 것이 2층형으로 구성한 것보다 공용면적이 줄어든다고 건축계획교과서들이 소개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메조넷을 하나의 공간을 2층형으로 구성한 것이라고 볼때 하층에서 상층으로 올라가는 구조일 때 상층이 아래층을 바라보고 바람도 잘 통한다는 의미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건축계획 이론의 말들은 생각 여하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며, 말 그대로 계획일 뿐입니다.

    (2) 플랫형은 층변화가 없는 단층의 주거형이며 평면구성의 제약이 적다는 의미는 복층형에 비해 평면구성이 복잡하지 않다는 의미로 볼 수 있겠습니다. 

    (3) 보기1은 ㄱ자형 또는 ㄷ자형에 대한 설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직선형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태라는 것을 생각해보시면 되겠습니다.

    (4) 병렬이 아니라 직렬이라고 하면 맞는 지문이 됩니다.

    (5) 배관의 중간에 둥근 구멍이 뚫린 칸막이를 설치한 경우, 이 칸막이를 오리피스라고 합니다.

    (6) 부착높이는 말그대로 감지기를 부착 즉 붙이는 높이가 될 것입니다.

    (7) 엘리베이터 오버헤드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위한 위쪽 및 아래쪽의 비어 있는 안전공간입니다.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큰 적재량 허용이 가능합니다.

    (8) 바닥쪽과 천장쪽 그리고 바닥과 천장의 중간 공간이 있다고 생각했을 때 세곳의 온도분포가 같다고 생각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9) 여름을 혹서기, 겨울을 혹한기라고 하는데 봄과 가을 정도를 중간기로 표현합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