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015-4회 내용 중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10개년건축기사
글쓴이 강*진 등록일 2021.08.02 답변상태 답변완료
  • 25. 테라조 현장 바름공사에 대한 선지 - 2번) 바닥 바름 두께의 표준은 접착공법(초벌바름)일 때 20mm 정도 이 다. -> 한솔 시공 책에는 재벌 15mm에 대한 내용만 나와 있어서, 초벌일때는 20mm, 재벌일때는 15mm 인가요?

     

    26. 금속 커튼월 시공시 ‘구체 부착철물’ 설치위치의 ‘연직방향’ 및 수평방향의치수 허용차의 표준치로 옳은 것은? 에서 ‘구체 부착철물’이 멀리언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아니라면 구체와 부착 철물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 니다..

    또한 ‘연직방향’이란 수직방향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34. 계단의 경사면적이라는 것이 이해한 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칠 소요 면적이면 경사면적으로 하면 전부다 산정하지 못하는 것 같은데, 생략해서 하는 것인지, 경사면적을 잘못 이해 한것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35. 보기2) 아치이음은 아치축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아치축’과 ‘아치축에 직각’이 어디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45. 양단 연속 1방향 슬래브,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슬래브의 최소 두께에서 해설에 보면 >=100mm가 있는 데 각 단순지지, 1단 연속, 양단연속, 캔틸레버가 100mm이하일 경우 100mm로 대신한다는 의미인가요?

     

    52. Zp = Ac x yc + At x yt = 2Ac x yc 라고 소성단면계수 식이 나와있습니다. 숫자만 보고 Ac, yc, At, yt가 어디 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각각 어디를 지칭하는 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 보기3) 건물의 유효중량은 틀린 선지인데, 해설에 W:유효 건물중량이 있습니다. 이 둘은 다른 말인가요?

     

    68. 보기2) 반자의 옥내에 면하는 부분은 벽 위쪽 모서리를 말하는 것인가요?

     

    77. 엘리베이터 무운전 방식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1) 단식 자동방식 : 승객 자신이 자동적으로 시동, 정지 이루는 조작방식 -> 엘리베이터에 탄 승객이 버튼을 눌러 도착하고 버튼으로 층을 누르는게 아니라 직접 시동을 걸고 원하는 층까 지 이동해간다는 건가요..?

    (2) 승합 전자동식 : 승객 자신이 운전하는 전자동 엘리베이터로 목적층의 단추나 승강장으로부터의 호출신호로 시 동, 정지를 이루는 조작방식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엘리베이터의 형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맞죠? 다만 승강장은 1층에서만을 승강장이라고 하나요? (3) 하강 승합 자동방식 : 아파트와 같이 승강장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있어도 정지하지 않고 최고 호출에 응하여 정지한 후에 자동적으로 반전하여 하강하며 승강장으로 부터의 호출신호에 응하여 정지하는 방식 -> 만일 아파트에서 엘리베이터가 1층 승강장의 호출이 있었음에도, 최고호출이 10층으로 설정되었다면 10층으로 먼저 운행 한 후에 10층에서 내려가서 다시 승강장의 호출 신호에 응한다는 의미인가요?

     

    91. 도로에서 대지쪽으로 ‘도로 폭 4m’ 확보를 위해 대지의 2m를 제히는 것이죠? 지금 제시된 상황에서는 반대쪽 대지가 없어서 도로를 기준으로 각 대지에 1m씩 후퇴하지 않은건가요? 만약 대지가 도로의 양쪽에 있다면 각 1m 씩 후퇴하는 건가요?

  • 안광호 |(2021.08.07 16:06)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수치가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15~20mm 정도의 두께입니다.

    (2) 커튼월, 금속, 석공사에서 거의 필수적으로 쓰이는 Fastner라는 부재를 영어식으로 파스너, 화스너 등으로 부르고 한자식으로는 구체부착철물이라고 부릅니다.

    (3) 경사길이에 폭을 곱하면 경사면적이 됩니다. 경사길이는 계단의 수직의 제곱과 수평의 제곱의 루트값이 될 것이고, 계단의 뒷면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 거라고 봅니다.

    (4) 아치를 벽돌로 구성한다고 했을 때 한장 한장의 벽돌을 아치원호의 중심과의 직선을 그었을 때가 아치축의 직각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5) 1방향 슬래브의 최소값은 100mm 이상이라는 규정이 있습니다. 계산값이 100mm보다 작은값이 나오면 의도적으로 100mm를 적용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계산값이 150mm가 나왔다면 100mm보다 큰 것이 확인되므로 150mm값을 적용한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6) c는 compression 압축의 c, t는 tension 인장의 t의 약자입니다.

    사각형을 기준으로 가운데에서 위쪽을 압축 c, 아래쪽을 인장 t 영역이라고 하며 A는 면적(Area)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7) 지진응답계수와 유효중량(W)의 곱으로 표현되는 것이 밑면전단력인데, 지진응답계수와 유효중량은 별개의 지표라는 것을 관찰해보시기 바랍니다.

    (8) 사람이 서있는 위쪽에 반자가 있을 것이므로 사람이 고개를 들어 반자를 바라보는 면이 옥내에 면하는 부분이 될 것입니다.

    (9) 단식자동방식은 승강장 단추가 하나로 공통인데 승강기의 단추나 승강장의 호출에 의해서 움직이는데 그 층에 도착하여 정지하며, 운전중에 일단 호출을 받으면 다른 호출을 받지 않는 운전방식입니다.

    5층건물의 예를 들면, 1층에서 5층을 눌렀는데, 중간층 2,3,4층의 호출을 해도 무시하고 5층까지 먼저 무조건 가는 형식이고 그 다음에 3층을 먼저 누군가 눌렀다면 3층먼저, 2층을 먼저 눌렀다면 2층먼저 가는 형식이며 일반적인 건축물에는 사용하지 않고 공사현장의 호이스트카 정도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승합전자동식은 1층에서 5층을 눌렀는데, 중간층에서 내려가는 사람들의 호출은 응하지 않고 올라가는 호출에만 반응하고, 내려갈때는 내려가는 신호에만 반응하고 올라가는 신호에는 반응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하강승합자동방식은 지금 현재 거의 모든 아파트나 고층건물에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운전방식으로 사실 이 운전방식만을 거의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정도로 구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0) 그렇습니다. 한쪽면에만 대지가 있다면 그쪽면에서 2m를 제하는 것이고, 양쪽면에 대지가 있다면 각각 1m씩 제하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