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강구조 고층건물의 구조형태 관한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건축구조
글쓴이 양*명 등록일 2021.09.0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강구조 고층건물의 구조형태에서 질문사항이 있습니다.

     

    한솔 책 '강구조 고층건물의 구조형태' 부분입니다.

    (1) 강접골조, 강절골조, 모멘트 골조에 대한 설명에서

    - 강접골조 : 휨모멘트에 결딜 수 있게 접합된 기둥과 보로 구성

    - 기둥과 보의 크기는 횡하중으로 인한 그 층에 작용하는 전단력의 크기에 좌우됨

     

    이렇게 나와있는데 기둥과 보가 휨모멘트에 견딜 수 있게 접합되었다는데

    크기는 횡하중으로 인한 전단력의 크기에 좌우된다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잘 이해가 안됩니다)

    휨하중으로 인한 휨모멘트의 크기에 좌우되어서 크기가 결정되는게 맞지 않나요?

     

    (3) 전단벽 구조에서

    강접골조와 혼용하는 경우 강접골조의 전단변형과 전단벽의 휨변형이 조화를 이루어 구조효율을 높이는 상호작용 한다 나와있는데

    강접골조에서는 전단변형이 일어나는거고 전단벽이 휨변형이 일어나는 걸로 알고 있으면 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광호 |(2021.09.03 11:08)

    안녕하세요,,,

    전단력과 휨모멘트를 견딜 수 있게 접합된 기둥과 보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더 올바른 표현이 될 것 같습니다.

    수직의 하중에 대해서 보는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발생이 될 것이고, 풍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에 대해서는 보 및 기둥이 수평전단에 대해 견딜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보 및 기둥의 크기가 얇은 것과 두꺼운 것을 비교했을 때 풍하중에 대해 누가 더 유리할 것인지를 생각해보면 알기 쉽겠습니다.

    참고로 기본적인 내용으로 외력의 방향과 나란한 힘을 전단력이라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골조는 층별로 전단이 발생하여 보통 층전단이 발생한다고 이야기하고, 전단벽은 하나의 면처럼 휨변형이 발생하게 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