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투수계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김*우 등록일 2021.10.07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안녕하세요

    교재 제2장 흙의성질 파트에서 

    '투수계수의 성질 : 모래의 경우 평균알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 라는 말이 이해되지않습니다.

     

    우선 제가 아는 바로는

    '점토와 모래' 둘을 비교할때

    입자크기는 모래가 압도적으로 크지만 공극은 점토가 더 크다고 알고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입자가 크면 공극은 작아진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투수계수의 성질 : 모래의 경우 평균알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 문장이

    평균 알지름의 제곱이 커지면 투수계수도 커진다는 말인데, 

    평균알지름의 제곱이 크다 = 입자크기가 크다 = 공극이작다 = 투수계수가 작다.

    이렇게 이해하여 반비례라고 생각했는데

    어떤 원리로 투수계수와 평균알지름의제곱이 비례하는지 궁금합니다!

  • 한규대 |(2021.10.07 23:40)

    답변입니다:

    1)흙이나 고체입자가 작을 수록 공극률이 커지고,실적률은 작아집니다,,이것은 일정한 용적에서의 실적률을 구할때 성립이 되는 검니다,,,/점토,모래도 입자가 작은 점토가 일정한 용적에서는 공극률이 크고, 실적률은 작아집니다..

    2)그런데 투수계수,침투량,배수량을 계산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공극은 작으나 하나의 공극이 큰 경우는 그쪽으로 물이 빠른 속도로 흘러서 침투량이 커지거나 배수가 빨리 될 수도 있는 검니다,,전체적인 공극에만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는 의미입니다../모래로 이루어진 지반과 자갈로 이루어진 지반에 입자가 손실되지 않게 조치를 한다음 동일한 물을 위에서 아래로 통과시키면 자갈지반이 헐씬 빨리 물이 통과 될 검니다,,이것은 시험을 안해도 우리가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데요,,이렇게 모래질 지반(조립토:입자가 큰흙)에서는 그 입자의 제곱에 비례하여서 투수계수가 커진다는 검니다,,이런 경우는 입자와 입자가 이루는 하나의 공간이 크게 발생이 되어서 침투량이 증가하는 겁니다../토목쪽에서 유명한 다르시의 법칙입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