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교수님 시공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연*훈 등록일 2021.10.13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교수님이 다른 학생의 질문에 답을 단것을 보고 저도 혼합시멘트인 고로시멘트,플라이애쉬,실리카(포졸란)시멘트가 모두 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 중성화가 빠르고, 그로인해 점점 저알칼리가 되어 알칼리 골재반응이 억제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하지만 시공책 197페이지를 보면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효과'에 관한 내용이 플라이애쉬의 기타특징으로만 들어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포졸란도 포졸란반응 이후에 저알칼리가 되고 이로인해 알칼리 골재반응이 억제되어서 공통적인 특징이 되야하는 것이 아닌가요?

     

    2) 골재가 클수록 실적률이 크고 공극률이 작고, 골재가 작을수록 실적률이 작고 공극률이 크다고 개념상으로는 그렇게 억지로 이해는 하고 있습니다만.. 

    2-1)'공극이란 암석 또는 토양 입자 사이의 틈'의 개념으로는 이해가 안되서요 골재가 클수록 입자 사이의 틈이 더 커서 공극률이 커야 하는것 아닌가요? 어떻게하면 쉽게 이해할수있을까요

    2-2)또, 실적률이 크면 건조수축과 수화열이 감소된다고 하는데 실적률이 작고 공극률이큰 골재를 쓴다면 혹시 조기강도는 커질까요?

     

    3) 시공책 p.194의 학습포인트와 p.201 2번 질문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최대치수는 체에 85% 통과를 기준으로하나요 90% 통과를 기준으로하나요?

     

  • 한규대 |(2021.10.14 02:34)

    답변입니다:

    1)플라이 애쉬가 특히 뛰어나기 때문에 그런 것이구요,,혼합 시멘트3종은 질문하신대로 모두 효과가 있습니다,,,/실기책에서는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실기시험에서는 일카리 골재반응의 방지책이 많이 출제됩니다..참고하세요..

    2)인테넷 강의를 시청 안하시나요 ? 그거 보시면 이해가 되실 텐데요.../똑같이 정사각형의 일정한 체적의 그릇에 하나 /A)는 그 그릇 전부에 들어가는 얼음을 얼리고 다른 한개 B)는 그 체적과 동일한 얼음을 작은 사각형 모양으로 여러개를 얼려서 그 그릇에 집어넣는 것으로 가정하면/A)는 공극이 전혀없는 실적률이 100%인상태가 되느 것이고요,,B)는 얼린 얼음의 일부가 다 그릇에 못들어가고 일부가 남을검니다,,그 남은 얼음이 공극이고 그릇에 들어간 얼음이 실적이 되는 검니다,,/즉 얼음의 크기가 크면 실적이 커지고 공극이 작은 것이구요,,작게 만든얼음은 공극이상대적으로커지고 실적이작아지는 검니다,,골재도 마찮가지 입니다../*일정한 용적의 용기에서 실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실적률 입니다..큰골재 사이의 한개의 공극은 작은 골재보다 크지만 일정한 용적의 그릇으로 비교하면 입자가 작으면 작을 수록 공극이 커집니다..참고하세요...

    3)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를 결정할때는 질문하신 페이지의 3번 문제처럼 그 체에 90%이상 통과된 골재중 가장 작은체 규격을 그 골재의 최대칫수로 합니다,,이것도 인테넷 강의 문제풀이 할때 제가 자세히 설명을 드리는데요,,,강의를 안 들으시고 이책을 보시면 질문 하실것이 1000개 정도는 되실 텐데요.../3번 문제에서 체의 규격과 우측에는 남는 누계량(%)이 있는데요,,,40,30,25,19mm 모두 90%이상 통과되었지만 그중에 가장 작은 체규격인 19mm를 골재의 최대치수로 하는것으로 정해놓은 검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