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교수님 시공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연*훈 등록일 2021.10.16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p.214 배합의 일반적인 원칙 중 2번, 같은 물시멘트비의 콘크리트의 경우 되도록 단위수량과 단위시멘트량을 작게 배합하라는 말이 되도록 배합은 조금씩 여러번 하라는 뜻 인가요?

    2. p.214 콘크리트의 강도검사 및 시험법에서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검사 부분에서 fck(설계기준압축강도가) 35Mpa 이하일 때와 초과일 때 연속 3회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압축강도 이상이라는 말은 이해가 됩니다만

    35Mpa 이하일 때 1회 시험값이 설계기준압축강도의 -3.5Mpa 이상이라는 말과
    35Mpa 초과일 때, 1회 시험값이 설게기준압축강도의 90%이상이라는 말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35Mpa 이하일 때는 매 시험마다 설계기준 압축강도보다 3.5Mpa보다 더 떨어지면 안되고,
    35Mpa 초과일 때는 매 시험마다 시험값이 설계기준압축강도의 90% 보다 커야한다는 말 인가요?

     

    3. p.220 문제 15번의
    1번선지: 시멘트 강도, 물시멘트비, 슬럼프가 동일할 경우 모래가 거칠수록 모래를 증가시키고 자갈을 감소시킨다. => 왜 맞는 말인가요? 골재는 거칠면 안좋은것 아닌가요?
    3번선지: 시멘트 강도, 물시멘트비가 동일할 때에는 슬럼프가 클수록 시멘트의 사용량은 증가한다. => 슬럼프가 커질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동일한 상태에서 유동성이 증가한다는 뜻인데, 시멘트의 양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을 작아져야 하는 것 아닌가요?
    이해가 잘 안되서 도움 부탁드립니다

  • 한규대 |(2021.10.19 17:47)

    답변입니다:

    1)되도록이면 1세제곱미터의 콘크리트를 제조할때 사용되는 물의 양과시멘트의 양을 작게 하라는 검니다,,,줄이라는 의미..

    2)공시체 3개의 평균값이 설계기준 강도보다 3.5Mpa이상 작아지면 안된다는 것이구요,,/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초(1회)시험값,공시체 3개의 평균값이 설계기준 강도의 90%이상을 만족하면 합격으로 간주한다는 검니다..

    3)*일단 3번째 질문하신 부분은 질문을 가장 많은 문제인데요,,최근에는 전부 레미콘을 사용하므로 14,15번과 같은 유형의문제(콘크리트 현장배합 문제)는 거의출제가 안된다는 것을 알아두시구요,,참고로만 보시길 바랍니다,..그래서 관련문제는 전부 삭제를 해놓았습니다..14,15번만 남기구요.../모래가 거칠다는 의미는 모래입자가 굵다라는 것이구요..이 경우는 잔입자의 모래보다 실적이 커지므로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자갈이 감소되어야 전체적인 골재량이 일정해 지므로 자갈을 감소시키라는 의미입니다./물시멘트비가 동일하다고 했으니 강도는 같구요,,이상태에서 슬럼프를 증가 시키려면 잔골재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이 경우는 시멘트량이 증가됩니다.즉 강도를 동일하게 하면서 유동성을 증가하려면 단위수량,잔골재량,시멘트량이 같이 증가됩니다..그래서 되도록이면 슬럼프값을 작게 하라는 검니다...참고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