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문의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계획 > 이병억
글쓴이 오*미 등록일 2021.10.26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문의드립니다.

     

    -통행을 위한 공용 면적이 크므로 건물의 이용도가 낮다.

    -엘리베이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세대가 많으므로 엘리베이터의 효율이 높다.

    이 두 가지는 기사 기출문제의 선지인데요, 각각 아파트 평면 형식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집중형이 중복도형보다 많은 세대를 집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효율이 '가장' 높은 형태라고 하면 맞는 표현인가요?

     

    기출문제 해설에서 중복도 형식의 장점에 엘리베이터 효율이 좋다. 라고 되어있던데.. 중복도 형식 자체만 놓고 보면 효율이 좋은 건 맞는 표현이지만,,

    집중형과 비교할 경우에는 집중형이 더 효율이 좋다고 해야 맞는 선지겠죠??

  • 이병억 |(2021.10.26 10:31)

    안녕하세요? 건축계획 담당강사 이병억입니다.

    공용면적의 비율과 엘리베이터 효율성은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질문하신 내용처럼 낮다, 높다를 가지고 어떤 형식의 특징이다라고 특정해서 말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두 가지 선지에 대해 어떤 형식인지 말씀드리기는 어렵고 공용면적의 비율과 엘리베이터 효율성을 형식에 따라 순서를 정리하게 되면

    계단실형<편복도형<중복도형<집중형의 순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