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문제의 요구조건에서 특별한 명시가 없다면 소수 2자리로 원칙을 세워주시면 될 것입니다.
교재에서는 3자리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것은 국제적인 단위변환의 편의성을 위한 내용이며 시험에서 이야기하는 한국의 관습적인 소수2자리 체계는 1m를 100cm로, 1cm를 0.01m로 생각하는 보수적인 관점의 체계이며 cm단위체계를 거의 쓰지 않는 것이 전세계적인 추세이므로 한국도 언젠일지는 모르지만 분명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입니다.
(2) 질문의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았지만 아마도 2-54페이지의 우측에 [보에 헌치가 있는 경우 보밑거푸집의 면적 신장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보의 옆면 거푸집은 계측한다]는 내용을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3) 부록 6-552페이지 20번 문제는 실기2권 3-53페이지의 32번 문제와 동일합니다.
(4) 균열모멘트는 유효깊이 d가 아니라 전체높이 h가 적용됩니다.
(5) 2-75페이지의 우측에 참고도면과 거푸집량 산정의 주의사항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6) 그렇습니다. 분모쪽에 EL이 아니라 EI로 표기되어야 하며, 개정판에 수정반영해놓도록 하겠습니다.
(7) A점에서 모멘트평형조건을 적용한다는 내용이 ∑M_A = 0 이고, 이것을 통해 A점의 모멘트반력 M_A를 구한다는 것입니다.
전자는 A점에서 구한다는 것이고 후자는 A점의 회전력이라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8) 그렇습니다. G는 Gider의 큰보이고, C는 Column의 기둥이므로 C로 수정반영해놓도록 하겠습니다.
(9) 장기처짐계수 옆에 등호표시가 누락되어 있으며, 개정판에 수정반영을 해놓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