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교수님 시공 2장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연*훈 등록일 2021.12.30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p.81 우측 하단에 나오는 '귀규준틀의 설치품이 수평규준틀보다 많이 들어간다.'
    여기서 설치품이 무엇인가요?


    2) p.90 사질과 점토 비교표에 나오는 전단강도는 지내력과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요소인가요?? 전단강도를 인터넷에 검색해봐도 여기서는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ㅠ


    3) p.96 10번 모래층에서 발생하는 유동화 현상이란 무엇인가요?


    4) p.98의 문제들을 보고 표준관입 시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N값을 통해서 알 수 있는것이 (모래의)상대밀도, 지반의 지내력, 흙의 내부마찰각 정도로 알면 될까요?


    5) p.97 보오링의 목적을 보고 질문드립니다. 지반조사 과정 시 일반적인 순서가 보링실시 -> 보링한 곳에서 사운딩 시험 실시 (사운딩 시험시 샘플링도 같이 실시) 이렇게 진행되는거 맞나요?



    6) p.100 1번 문제를 보고 질문드립니다. 지반조사 지내력조사 같은 조사들은 모두 공통가설공사에 포함되는 건가요??


    7) p. 110 20번 문제에 나오는 가소성은 어떻게 해석해야할까요?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변형에 관한건 알겠는데 이게 모래랑 점토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ㅠ

  • 한규대 |(2022.01.02 23:05)

    답변입니다:

    1)품=비용/입니다..자재비나 거기에 따른 인건비등의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2)암석의 전단강도가 일반 흙보다는 헐씬 크지요,,그리고 토목일반론에서는 흙의 종류에 암석도 포함됩니다,,지내력은 여러가지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고려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지내력이 크면 전단강도도 커집니다..

    3)함수율이 큰 사질이나 실트질 지반에서 갑자기 진동,충격을 받으면 입자가 교란되어서 마치 물처럼 유동화되어 전단저항을 상실하는 현상을 말합니다..실기강의에서는 설명을 드립니다.. 실기 교과서에도 있구요,,/비온후에 지진이 생기면 지반이 마치 물처럼 함몰되어 지지력을 상실하고,건물이 무너지는 현상으로 일본에서 여름철 장마기간에 뉴스에도 많이 나왓었던 용어입니다..

    4)필기시험 에서는 그정도를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표준관입 시험에 대해서는요,,

    5)보링을 하면서 처음부터 표준관입 시험을 같이 합니다,,,/전기저항 시험이나 음파탐지를 하면 개략적으로 어떠한 지층이 어느깊이 만큼 분포되어 있는지를 알 수있는데요,,보링을 실시하면서 지층이 교차 될때마다 SPT시험이나,베인테스트를 실시해서 보링기록을 작성합니다..그후 채취된 샘플(보링을하면 샘플이 채취됨)을 시험실에서 여러가지 토질시험을 시행하는 검니다,,그렇게 작성된 지하도면이 주상도라는 검니다..

    6)보링,SPT.등의 지반조사는 설계에 반영이 되기 때문에 시공비용에는 포함이 안되지만 현장에서 확인을 위한 재조사,지내력시험등은 가설공사 비용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구요,,외주비등(필요시 업체에 위탁처리 하니까.)의 경비항목으로 포함되는 경우도 있고,토공사 비용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공사시작전에 어떤 비용으로 회계처리를 할지는 현장마다 차이가 있어서 미리 정하고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정확히 분류가 어려운 경우도 있어요,,

    7)도자기,그릇 식기등은 점토로 만들지요,,모래로 만들지는 않지요,,또한 13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소성이되므로 고령토등의 흙이 사용이 됩니다,,즉 점토는(진흙은) 적절히 물을 적시면 모양을 만들 수(가소할 수)있어서 모래에 비하면 가소성이 우수하다,점착성이 좋다. 라고 하는 검니다,,플라스틱의 뜻도 어떤물체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합성수지, 가소재료를 말하는 검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