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1)아주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 흙의 구성도면을 직각사각형으로 형상화 했을때 책에있듯이 흙입자가 실제로는 흙입자 사이에 물과 공기(공극)가 뒤섞여 있지만 이것을 참점시키면 맨 아래로 흙입자가 침전이되고 ,물,공기가 차례대로 구성이 됩니다,,여기서 물을 증발시키면 그 양에 따라서 흙이 더 많이 압밀침하 되지요,,,이것과 같이 물의 절대량이 많을 수록 수축량이 커지는 검니다,,
2)물 시멘트비가 큰 콘크리트는 공극이 증가되어 강도가 떨어지며,또한 블리딩 현상(일종의 재료분리 현상)도 증가하는데 콘크리트속의 물이 위로 올라오고 증발되므로 그 체적만큼 콘크리트는 체적이 감소(축소,수축)되는 검니다,,
3)또한 미세 콘크리트 공학에서는 물시멘트비가 커지면 물이 올라오는 통로인 모세관공극이 많아져서 블리딩이 증가하는 것이고, 그 공극사이의 물이 증발하기 위해서는 그 공극보다 수축되면서 빠져나가게 되는데 그 사이사이 에서는 인장응력이 발생해서 건조에 따른 수축균열도 함께 증가되는 검니다,,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