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1)경량골재를 사용하면 골재의 흡수율이 크므로, 단위수량이 증가하고,건조수축도 증가하는데요 골재가 경량이라는 것은 다공질 재료이기 때문이구요,,경량골재 콘크리트가 일반 콘크리트보다 건조수축이 증가하는 이유입니다.../*시멘트량이 증가되면, 그 시멘트입자를 다 분산시키기위해서 수량이 더 많이 필요하므로 역시 수축이 증가합니다,,
2)물이 많아지면 콘크리트 내부의 모세관공극이 증가되어서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블리딩(재료분리)이 많아지고,침하균열이 증가합니다.. 또한 공극내 콘크리트에서 물이 빠져나갈때 수축되어야 하므로 그 공극사이에는 인장균열이 생겨서 45도 방향으로 불규칙한 균열이 생기는 것이구요,, 이것을 소성수축균열 이라고 합니다../*물시멘트비가 커지면 결국에는 공극이 증가되어, 강도가,감소되며,수축이 증가하는 검니다..참고하세요..
3)이론적인 물시멘트비는 40%면 족한데,이 경우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현저히저하되어서 시공하기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60~65% 정도의 물시멘트비를 만들어 사용하는 데요,,이 여분의 물이 증발되거나 위로 올라가면서 소성수축균열과 침하균열을 만드는 검니다..따라서 적절히 AE제나 AE감수제를 사용해서 배합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