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단위수량과 건조수축량 사이 관계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조*환 등록일 2022.02.07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제 4장 철근콘크리트 공사] 파트 P241에 11번 문제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해설을 보면 단위수량과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건조수축량이 증가한다라고 되어 있는데요... 

    제 나름대로 해석을 해보자면 단위수량이 커지면 물이 많아진다는 것이고 그에 따라 시멘트량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는데 건조수축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물이 많아서 커지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왜 물이 많을수록 건조수축량이 커지는 것인지 이유와 원리를 설명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한규대 |(2022.02.09 00:07)

    답변입니다;

    1)경량골재를 사용하면 골재의 흡수율이 크므로, 단위수량이 증가하고,건조수축도 증가하는데요 골재가 경량이라는 것은 다공질 재료이기 때문이구요,,경량골재 콘크리트가 일반 콘크리트보다 건조수축이 증가하는 이유입니다.../*시멘트량이 증가되면, 그 시멘트입자를 다 분산시키기위해서 수량이 더 많이 필요하므로 역시 수축이 증가합니다,,

    2)물이 많아지면 콘크리트 내부의 모세관공극이 증가되어서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블리딩(재료분리)이 많아지고,침하균열이 증가합니다.. 또한 공극내 콘크리트에서 물이 빠져나갈때 수축되어야 하므로 그 공극사이에는 인장균열이 생겨서 45도 방향으로 불규칙한 균열이 생기는 것이구요,, 이것을 소성수축균열 이라고 합니다../*물시멘트비가 커지면 결국에는 공극이 증가되어, 강도가,감소되며,수축이 증가하는 검니다..참고하세요..

    3)이론적인 물시멘트비는 40%면 족한데,이 경우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현저히저하되어서 시공하기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60~65% 정도의 물시멘트비를 만들어 사용하는 데요,,이 여분의 물이 증발되거나 위로 올라가면서 소성수축균열과 침하균열을 만드는 검니다..따라서 적절히 AE제나 AE감수제를 사용해서 배합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