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방수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시공 > 한규대
글쓴이 연*훈 등록일 2022.02.25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p.424 13번의 3번에서는 균일한 두께를 확보하기 어렵고 두꺼운 층을 만들 수 없다. 라고 하였는데 p.426 19번의 1번에서는 도막방수는 상당한 두께를 가진다고 되어 있어서요.
    두꺼운 층을 만들 수 없다. 와 상당한 두께를 가진다는 같은 말이 아닌가요??


    2) p.423에 3번 해설에 나오는 바탕처리 -> 지수 -> 혼합 -> 바르기 -> 마무리 에서
    '지수'가 무엇인가요?


    3-1) p.418 안방수의 종류로는 시멘트 액체방수, 침투성 방수, 도막방수가 있고, 안방수는 보호누름이 필요한 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시멘트 액체방수, 침투성 방수, 도막방수 모두 보호누름이 필요한 걸로 알면 될까요???
    3-2) 또 여기서 보호누름과 도막방수의 보호층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 한규대 |(2022.02.28 02:49)

    답변입니다:

    1)/상당한 두께를 가진다./는 표현은 방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두께가 된다.라는 의미입니다.(특히 라이닝 공법은 두께를 두텁게 시공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도막방수는 주로 코팅공법으로 시공되므로 상대적으로 다른 방수층에 비해서는 두껍게 시공하기 곤란하다.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지혈은 피가 안 나오도록 막는 것이구요,,지수는 물이 안 나오도록 하는 검니다..즉 바탕이 균열이 가서 물이 새거나,물이 스미는 현상을 바탕처리후 발수제 처리 하거나 바탕처리에 방수제를 함께 사용해서 일단 지수를 한후 /재료혼합,바르기,마무리/ 순서로 한다는 검니다..

    3)안방수와 바깥방수는 방수위치에 따른 분류 이구요,,지금 질문하신 방수종류가 반드시 안방수에서만 사용된다.라고 제가 말씀을 드린적이 없어요,,/시멘트 액체방수는 주로 안방수에 많이 쓰이고 내구성이 필요한 옥상등에는 별로 사용을 안하지만 경미한 방수인 경우에는 옥외 방수에도 사용합니다,,침투성 방수,도막 방수도 마찬가지 이구요,,특히 도막방수는 옥외에 많이 사용합니다..

    4)필요하면 바깥방수도 보호누름,보호몰탈을 시공하는 것이구요,,특히 옥상은요,/보호누름은 특히 아스팔트처럼 여러겹으로 시공되는 경우에 방수층을 안정화하기위해서 주로 경량콘크리트나, 신더콘크리트 등을 사용하여서 방수층 누름을 해준후 그 위해 보호몰탈을 시공하는 것이구요,,도막방수 에서의 보호층은 도막방수재료가 주로 고무계통의 합성수지 인데요,,이 재료는 내후성이 떨어지므로 직사광선이나 온도변화에 재료의 성능저하(열화)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코팅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이 경우도 필요하면 단열처리하거나 보호층을 설치 하거나 두께를 상당히 두껍게 시공하는 라이닝 공법으로 시공하기도 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