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먼저 질문을 한꺼번에 많이 해주셔서 답변이 늦었습니다..
1)일단 사질지반은 상부의 하중으로 가운데 부위에 응력이 많이 분포되는 특징이 있구요,/사질지반의 물리적인 지반응력의 특성임./(위에서 크고,둥근 쇠공을 모래위에 떨어뜨리면 가운데가 움푹파이고,주변부가 약간 줄어드는 형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반면에 점토는 배수가 자라 안되는 지반으로써 상부하중에따라서 수압에의해 가운데가 올라오고 주변부로 응력이 이동하는 형태가 됩니다..참고하세요.
2)보링은 드릴로 지반에 구멍을 뚫어서(천공하여)흙의 종류,상태,깊이등의 도면을 작성하고,또한 토질의 종류가 바뀔때마다 표준관입시험,베인테스트 등의 시험을 하며,토질의 샘플을 채취하고,지하수위를 측정하는 용도이구요,,/지내력 시험은 기초가 설치되는 그 자리에 재하판을 설치하고 흙에 하중을 가해서 흙의 지내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므로 성격이 완전히 다른 시험입니다..참고하세요,,그러니 보링과 지내력시험은 서로 관련이 없는 시험입니다..
3)철관을 박아넣는 시험은 표준관입시험용 샘플러(철관,파이프)를 30cm 깊이로 때려박는 표준관입시험과 관련이 있습니다..
4)표준관입시험에서 N값이 크면 클수록 단단한 지반이고,지내력이 크고,전단강도가 크다고 판단하며, 잘 다져진 지반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그 N값이 곧 그 지반의 전단강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뜻입니다,,/상대적인 밀도, 강도를 뜻하는 검니다,,/*여러곳을 시험했는데 그중 하나의 N치가 30이고,다른 곳은 20이라면 30나온곳이 20보다는 내력이 크구나라고 판단하는 자료라는 뜻입니다..상대적인 밀도값 입니다,,절대값이 아니라요,,
5)산악지역,군작전지역,소단위공사 할증이 모두 적용이 되는 경우이므로 할증률이 120%가 추가되어서 /*총 투입인원 : 10명+(10명 x 1.2(120%))=22명이 되는 검니다,,
6)가로/세로 길이와, 작은 가로/작은 세로의 기호만 일정한 패턴으로 정하시면 바뀌어도 상관이 없습니다,,꼭 긴쪽이 a,짧은 쪽이 a'이 될 필요는 없다는 검니다..바뀌어도 상관없어요,,,결과는 똑같습니다..
7)중량을 구해야 하니까 띠근의 길이를 계산할때 /한면이 0.4m인데 피복두께를 3cm씩 공제해서 한면이 34cm즉 0.34m로 본 것이구요,,(예전의 피복두께는 기둥,보 모두 한쪽에 3cm씩 공제했구요,,지금도 그렇게 하시면 됩니다.)4개의 면이 있으니까 0.34x4면=띠근 하나의 길이가 산정되는 검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