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P180 - 문12 - 2번의 가스용접과 4번의 가스압접의 의미상 차이가 무엇인가요? 찾아봐도 나오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또한 동일한 문제에서 강도가 약해 구조용으로 불가하다는 것이 가스 용접인데, 해설에서는 구조용으로 적합하다고 적혀 있습니다. 어느 것이 맞는 것인가요? 제가 의미를 잘못 해석한걸까요?
P179 - 문10 - 4번의 벽철근의 철근 정착 위치는 기둥, 보, 기초 또는 바닥판에 정착한다고 했는데, P174의 정리에서는 기둥, 보, 바닥판으로 되어 있습니다. 기초는 포함인가요 아닌가요? 제가 공기업 필기시험때 이 문제가 나와서 헷갈렸습니다.
P187 - 문4 - 2번의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게 무엇을 지칭하고, 3번에서 거푸집널을 지지하여 그 하중을 멍에, 장선 및 띠장받이에 전달한느 게 무엇인가요?
P188 - 문10 - 4번의 틀린 선지가 맞기 위해서는 어떻게 고쳐야 하나요? 그리고 3번에 시공연도가 좋으면 왜 생콘크리트의 측압이 증가하나요?
P192 - 문27 - 4번의 사일로의 정의가 무엇인가요?
P183 정리에서 거푸집 하중 및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서 온도,습도가 높으면 경화가 빠르게 되어 측압이 낮아지는데, P188의 옆 해설에서 온도가 낮으면 측압이 증가한다고 씌여 있습니다. 답이 다른데, '콘크리트'의 습도와 온도와 단순히 '날씨'의 습도와 온도가 다르다고 하는 의미인가요?
P189 정리에서 측압영향을 주지 않는 요소 중에서 시멘트 수화열이 있는데, 수화열이 높으면 빠르게 경화하여 측압영향에 미치지 않나요? 아님 그다지 영향이 크지 않다로 해석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