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입니다;
1)4도씨의 물의 중량이 비중 1이고 이것을 기준으로 물질의 상대적인 중량값이 비중이지요,,시멘트의 비중은 보통 3.15인데 물보다 3.15배 무겁다는 검니다,,철의 비중은 7.85이지요../*그런데 공극이 많은 물질은 가볍고, 철처럼 공극이 0인(밀도가 큰)물질은 무거우니까 최근에는 비중을 밀도의 개념으로 표시하기도 합니다..밀도가 크면 무겁지요../*또한 콘크리트의 비중은 시멘트에만 영향이 있는것이 아니라. 콘크리트의 70%이상이 골제이므로 굵은골재의 비중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습니다..차폐용(중량) 콘크리는 철광석을 주원료로 쓰므로 비중이 커집니다,,많이차이가 납니다..
2)시방서나 ks기준에 정해놓은 검니다,,굵은골재의 최댓치수의 기준을 정해 놓아야 구분할 것 아니예요.?/ 모래와 자갈은 5mm체를 기준으로 하고 25mm골재는 25mm체를 기준으로 합니다..*제 강의를 들으시는 분이면 이 문제는 문제풀이때 자세히 설명이 되었는데요../ 굵은 골재 최대칫수는 그 체에 90%이상 통과된 체규격중 최소칫수의 체지름을 그 골재의 최대칫수로 정해 놓았습니다,,/3번 문제에서 19mm에서 9%가 남았으니까 91%이상 통과 되었지요,,그 90%이상 통과된 체가 19mm,25mm,30mm,40mm체등 4가지 인데 그중 가장 작은체 규격인 19mm를 그 골재의 최대칫수로 하자.라고 정해놓은 검니다../문제 2번에서의 그기준은 수시로 바뀌는 기준이라서 그 규정을 아주 가끔씩 나오는 한 문제를 위해서 다 암기할 수는 없잖아요..*25mm골재 라고 했으니까 25mm골재에 90%에 가장 가깝게 통과한 것만 고르시면 됩니다..
3)분말도가 크다=미세한 분말이다=표면적이 크다=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크다(중량에 비한 표면적이 크다=비표면적이 크다.)입니다../*따라서 해설 그대로 입니다../*여태껏 오해하고 계셨던 검니다..
4)맞는 것을 고르는 문제이니까../3번째 지문은: 0.15mm~0.3mm의 골재가 많으면 공기량은 증가한다,가 맞는 표현입니다..감소한다가 틀린 것이구요,,
5)배합 강도 결정식은 한번도 기사필기에서 출제가된 경우가 없구요,,앞으로도 안나올 검니다,,다만 공사시험이나 공문원에서는 다루어 지겠지요..책에 써놓은 대로입니다,,자세히 읽어보세요,,/35Mpa을 기준으로 식을 나누어 놓은것은 호칭강도 기준이구요,,/잘 읽어보시면 개정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는 /배합강도,설계기준 압축강도,내구성 기준 압축강도,품질기준강도,호칭강도까지/5가지의 압축강도에 대한 용어가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