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건축기사 필기_빨간책_4장 철근콘크리트공사_03콘크리트 재료 질문
질문유형 기타문의 > 건축시공
글쓴이 정*민 등록일 2022.03.27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콘크리트 비중이 증가 = 물보다 시멘트의 양이 증가한다는 뜻인가요?

    2. 비중의 의미가 기존물질 / 비교되는 밀도로 해석하는 것인가요?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3. P201 - 문3의 굵은 골재 입도시험결과를 묻고 있습니다. 옆 해설에서 19mm채에 90%이상 통과 되었다는 데, 어떤 기준으로 90%인지 궁금합니다. 각체에 남은 량 누계 100중에서 90% ->90은 통과하고 남은 10보다 9가 더 큰 값을 가지고 있다는 근거로 해석해도 될까요? 정확한 풀이 부탁드립니다.

    4. P201 - 문2의 콘크리트용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25mm로 나와있어 25mm체를 90%이상 통과, 20mm체에 50~90% 통과가 답이라고 나와있는데,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예를 들어 40mm인 단면이 큰 경우와 무근콘크리트 경우에 40mm체를 90% 통과, 40보다 5 작은 35mm체를 50~90%통과로 봐야 할까요? 기준이 궁금합니다.

    5.P205 - 문21의 시멘트 중 분말이 미세하다는 것은 분말도가 작다고 판단되어 표면적이 작고, 수화작용이 느리고, 발열량이 줄어들고, 초기강도가 작다는 등 이런 의미로 해석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괄호에 비표면적이 큰 것이라 설명 되어 있어 있습니다. 비표면적이 크다는 이야기는 분말도가 큰 것이 아닌가요? 답을 틀려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6.P207 - 문33 2번 선지를 고치면 시멘트 분말도 및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공기량은 감소한다. / 3번 선지 : 잔골재 중의 0.15~0.3mm의 골재가 많으면 공기량은 감소한다.

    => 이렇게 고치는 것인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7.P212 - 배합강도 결정 중에서 4번의 fcq가 지칭하는 강도가 무엇인가요? 오타인가요? 호칭강도는 fcn인데, 궁금합니다.

    항상 정확하고 빠른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한규대 |(2022.04.03 22:33)

    답변입니다;

    1)4도씨의 물의 중량이 비중 1이고 이것을 기준으로 물질의 상대적인 중량값이 비중이지요,,시멘트의 비중은 보통 3.15인데 물보다 3.15배 무겁다는 검니다,,철의 비중은 7.85이지요../*그런데 공극이 많은 물질은 가볍고, 철처럼 공극이 0인(밀도가 큰)물질은 무거우니까 최근에는 비중을 밀도의 개념으로 표시하기도 합니다..밀도가 크면 무겁지요../*또한 콘크리트의 비중은 시멘트에만 영향이 있는것이 아니라. 콘크리트의 70%이상이 골제이므로 굵은골재의 비중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습니다..차폐용(중량) 콘크리는 철광석을 주원료로 쓰므로 비중이 커집니다,,많이차이가 납니다..

    2)시방서나 ks기준에 정해놓은 검니다,,굵은골재의 최댓치수의 기준을 정해 놓아야 구분할 것 아니예요.?/ 모래와 자갈은 5mm체를 기준으로 하고 25mm골재는 25mm체를 기준으로 합니다..*제 강의를 들으시는 분이면 이 문제는 문제풀이때 자세히 설명이 되었는데요../ 굵은 골재 최대칫수는 그 체에 90%이상 통과된 체규격중 최소칫수의 체지름을 그 골재의 최대칫수로 정해 놓았습니다,,/3번 문제에서 19mm에서 9%가 남았으니까 91%이상 통과 되었지요,,그 90%이상 통과된 체가 19mm,25mm,30mm,40mm체등 4가지 인데 그중 가장 작은체 규격인 19mm를 그 골재의 최대칫수로 하자.라고 정해놓은 검니다../문제 2번에서의 그기준은 수시로 바뀌는 기준이라서 그 규정을 아주 가끔씩 나오는 한 문제를 위해서 다 암기할 수는 없잖아요..*25mm골재 라고 했으니까 25mm골재에 90%에 가장 가깝게 통과한 것만 고르시면 됩니다..

    3)분말도가 크다=미세한 분말이다=표면적이 크다=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크다(중량에 비한 표면적이 크다=비표면적이 크다.)입니다../*따라서 해설 그대로 입니다../*여태껏 오해하고 계셨던 검니다..

    4)맞는 것을 고르는 문제이니까../3번째 지문은: 0.15mm~0.3mm의 골재가 많으면 공기량은 증가한다,가 맞는 표현입니다..감소한다가 틀린 것이구요,,

    5)배합 강도 결정식은 한번도 기사필기에서 출제가된 경우가 없구요,,앞으로도 안나올 검니다,,다만 공사시험이나 공문원에서는 다루어 지겠지요..책에 써놓은 대로입니다,,자세히 읽어보세요,,/35Mpa을 기준으로 식을 나누어 놓은것은 호칭강도 기준이구요,,/잘 읽어보시면 개정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는 /배합강도,설계기준 압축강도,내구성 기준 압축강도,품질기준강도,호칭강도까지/5가지의 압축강도에 대한 용어가 나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