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화살표형 네트워크 공정표를 그리다보면 로지컬더미(Logical Dummy)와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 두개만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두개만 구분한다면 공정표 작성에 혼란은 없을 것입니다.
동그라미로 표현되는 이벤트에서 실선의 화살표 없이 단 하나의 더미만 발생하는 경우는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이며 시작결합점과 종료결합점이 서로 같은 작업들에게서 발생되는 더미입니다.
해당 작업이 종료되었는데 특정의 후속작업이 종료된 작업의 이름을 필요로 할 때 필요한 더미는 로지컬더미(Logical Dummy)입니다.
예제1에서 발생된 1->2, 2->3의 더미는 넘버링 더미이고,
예제2는 문제의 조건을 따라 공정표를 작성하면 넘버링더미 및 로지컬더미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