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고정지점은 고정단이라고도 하며 외력에 대해 수직반력, 수평반력, 모멘트반력이 발생할 수 있는 지지단으로서 그림상에서는 D, E, F 가 고정단에 해당됩니다.
부재와 부재의 연결상태가 강접합되어 있는 상태를 고정절점이라고 하며,
A, B, C는 지지단이 아니므로 고정단이라고 하지 않고 고정절점이라고 합니다.
(2) 수직의 기둥에 수평의 하중이 작용하여 휨모멘트가 발생한 상황입니다.
4m높이의 기둥에 얼마의 수평하중이 가해졌길래 좌측기둥과 우측기둥의 휨모멘트의 합이 발생되었느냐 정도의 문제라고 보시면 알기 쉽습니다.
(휨)모멘트 = 힘 * 거리 의 개념을 접목시켜보시면 되겠습니다.
(3) 다음의 해설을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4) 그렇습니다. C점의 전달모멘트는 0이고, 결국 C점의 모멘트반력 및 휨모멘트 모두 0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