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구조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구조 > 안광호
글쓴이 연*훈 등록일 2022.05.12 답변상태 답변완료
  • 친절한 답변 항상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1) p.305 6번에서 제가 저번에 B점이 고정단이냐고 질문 했던 이유가 최소한 한쪽은 고정단 이어야 고정단 모멘트와 해제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지 않나 해서였습니다. 근데 D,E,F만 고정단이라고 하시니 A,B,C는 모두 고정단이 아닌데 어떻게 wL^2/12 의 식으로 푸는지 의문이 듭니다. 마찬가지로 7번도 해설말고 실제로 값을 구해서 풀면 어떻게 풀 수 있을까요!

     

     

     

    2) p.512 19번 문제에서 마지막 철근 간격을 구할 때 1000mm가 왜 분자로 들어가는지 질문드립니다. 휨철근에 직각방향으로 배근되는 거면 문제에 주어지진 않았지만 b(=1000mm)가 아닌 슬라브 단변의 길이가 분자에 들어가야 하는 것 아닌가요?

     

     

    3) p.515 28번 문제를 p.504에 있는 공식으로는 어떻게 풀 수 있을까요? 답이 다르게 나오는거 보니 계수 모멘트 산정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못한거 같습니다

     

     

     

    4) p.579 핵심예제4에서 고장력볼트는 단위강도가 높아 큰 응력을 받는 접합부에 적당하다는 말과 유효단면적당 응력이 작으며 피로강도가 크다고 되어 있는 말이 헷갈립니다.

    앞에건 큰 응력이고 뒤에건 작은응력..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5) p. 587 고장력볼트의 전단강도를 구할때는 모든 갯수만큼 곱해주는데 미끄럼 강도는 왜  게이지 라인에 따라 작은값이 답이 되나요?

     

     

    6) p.621 휨좌굴에 대한 압축강도에서 Fcr을 구하는 식이 나오는데 p.616에 나오는 탄성좌굴응력과 다른점이 뭔가요..? 둘다 Fcr인데 탄성좌굴응력을 구할 때는 다르게 쓰이고 해서 헷갈립니다.. 찾아봐도 모르겠어요ㅠ

  • 안광호 |(2022.05.19 16:49)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외력에 대해 수평반력, 수직반력, 모멘트반력을 해결할 수 있는 지점을 고정지점이라고 하며 이것을 국내에서는 고정단이라고도 합니다. 고정단이라는 표현을 오히려 더 많이 사용합니다.

    부정정구조시스템에서 수평의 부재에 수직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부재의 양끝에서 좌측끝은 반시계회전력, 우측끝은 시계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Fixed End Moment 라고 하며, 국내 구조역학교과서들은 한자식표현을 빌려 고정단모멘트라고 합니다.

    고정단모멘트는 고정절점의 양끝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이며 이것을 지지단으로 생각하시는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며, 고정단(=고정지점)과 고정단모멘트 두개는 전혀 다른 별개의 의미입니다. 

    (2) 502페이지 1방향슬래브의 설계원칙 (1)의 내용을 참조하시고,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단위폭 1m 즉, b=1000mm가 적용됩니다.

    (3) 해설의 (1)은 등분포하중에 대한 단변방향의 분담하중이 되겠으며, 해설의 (2)는 전체정적계수모멘트 1/8의 2/3에 해당하는 부모멘트를 묻고 있음을 문제조건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4) 면적이 크면서 외력을 잘 받아내는 것보다, 면적이 작으면서 외력을 잘 받아내는 것이 효율적인 것은 두말 할 나위가 없겠으며, 고장력볼트는 일반볼트나 리벳과 같은 연결재에 비해 면적이 작으면서 외력을 잘 받아내므로 유효단면적당 응력이 크다고 하는 것이며 큰 응력이 걸리는 접합부에 적당한 접합이 되겠습니다.

    반복적인 하중에 대해 구조물이 견뎌낼 수 있는 능력을 피로강도라고 하며, 고장력볼트는 피로강도가 큰 재료에 속합니다.

    (5) 외력의 방향과 나란한 파단을 전단파단이라고 하며 24번 문제의 그림상에서 볼트의 중간 부분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외력에 대해 볼트와 판재의 연결부위 즉, 25번 문제의 그림상에서 상부판재와 볼트머리가 만나는 부분과 하부판재와 볼트머리가 만나는 부분이 외력에 대해 구멍이 벌어지는 현상이 미끄럼이며, 구멍이 벌어지는 순간의 강도가 미끄럼강도입니다.

    정리해보면, 볼트중간이 힘의 방향과 나란하게 파단되는 현상이 전단이고, 볼트와 판재의 머리부분에서 구멍의 벌어짐 현상이 미끄럼입니다.

    (6) 624페이지의 3번 문제는 탄성좌굴응력(=탄성좌굴강도)을 구하는 것이고 기둥과 같은 압축부재의 설계와 관련있는 압축강도를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621페이지에 소개되고 있는 내용은 탄성좌굴강도를 계산한 후에 기둥과 같은 압축부재가 탄성 또는 비탄성 어느 영역의 좌굴인지를 결정한 후에 요구하는 압축재의 압축강도를 구하는 설계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624페이지의 Fcr은 탄성 또는 비탄성 어느 영역의 좌굴인지를 검토하기 이전의 Fe를 구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