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타설 공법 (3점)
- 1층 슬래브가 먼저 타설되어 작업공간으로 활용 가능
- 지상과 지하 동시 시공으로 공기 단축 용이
- 전천후 작업이 가능하다
2) 간극비, 함수비, 포화도 (3점)
3) 공정표 맞음 (10점)
4) 용어 설명 (4점)
- 엔드탭 : 용접결함이 생기기 쉬운 용접 bead의 시작과 끝에 용접하기 위해 용접하는 모재의 양단에 부착하는 보조강판
- 스캘럽 : 교차부위 용접 시 접합부위의 용접선이 교차되어 재용접된 부위가 열영향을 받아 취약해지기 때문에 부채꼴 모양으로 용접살을 모따기 한 것 (앞부분의 이음 및 접합이 아닌 교차부위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감점 사유가 될까요)
5) 목재 천연건조 장점 (4점)
-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가 불필요하다
- 다량의 목재를 한 번에 건조 가능하다
6) 흙의 양 산출 (4점)
- 6m^3
7) 예민비 식과 정의 (4점)
- 자연시료강도 / 이긴시료강도
- 점토를 함수율의 변화없이 이겼을 때 강도가 약해지는 정도
8) 약액주입공법 판단 방법 (3점)
못썼습니다 ㅠ
9) 용어 설명 (4점)
- 복층유리 : 두 장의 판유리 사이 건조공기를 봉입하여 만든 유리
- 배강도유리 : 유리를 연화점 이하로 가열한 후 서서히 바람을 불어주어 냉각시켜 만든 유리
10) 세로규준틀 설치 위치 1개소, 기입사항 2개(4점)
- 설치위치 : 모서리
- 기입사항 : 쌓기 단수 및 줄눈 표시, 인방보 및 테두리보의 설치 위치
11) 콘크리트 소성 수축 균열 정의 (4점)
-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초기 균열로 블리딩 수의 발생보다 표면수의 증발이 빠를 때 발생하는 불규칙 균열
12) 액상 하드너 시공시 유의사항 (4점) (애매하게 작성한 부분입니다)
- 하드너의 바름 두께를 균일하게 한다
- 바탕면의 요철을 조절하는 등의 바탕처리를 한다
13) 볼트 합격/불합격 여부 (6점)
못풀었습니다
14) 밀시트 확인 사항 (3점)
- 강재의 KS규격
15) 거푸집 설명 (4점)
- 슬라이딩폼 : 높이 1~1.2m의 조립된 거푸집을 요크로 끌어올려 시공이음 없이 연속적으로 타설할 수 있는 수직활동 거푸집으로 곡물창고 건축 등에 활용된다.
- 워플폼 : 무량판 구조에서 2방향 장선 바닥판 구조가 가능한 기성재 거푸집
16) 기준점 정의와 설치 유의사항 (4점)
- 정의 : 건축물의 기준위치를 정하는 원점으로 높이의 기준을 정하는 점
- 주의사항 : 이동의 염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어디서나 바라보기 좋고 공사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
17) 콘크리트 골재 용어 설명 (4점)
- 흡수량 : 표면건조내부포수상태의 골재 내 포함되어있는 물의 질량
- 함수량 : 습윤 상태의 골재 내 포함되어있는 물의 질량과 표면의 묻어있는 물의 질량의 합
18) 주철근 간격 일정하게 유지하는 목적 (3점)
- 콘크리트 유동성 확보
- 소요 강도 확보
- 재료분리 방지
19) 슬래그 혼입 원인과 방지대책 (4점)
- 원인 : 전류가 너무 약할 때 / 운봉 속도가 너무 느릴 때
- 방안 : 전류를 일정세기로 유지, 운봉 속도를 상승시킨다
20) 철골 단어 기재 (3점)
- T/S 볼트
21) 1방향 슬래브 최소두께 (3점)
단순지지 1방향 슬래브 20
1단연속인 보 18.5
양단연속인 리브가 있는 1방향 슬래브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