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런 혼동이 오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횡선식공정표를 작도하고 이를 이용해서 네트워크공정표를 그렸을 때 두 공정표가 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데서 비롯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비슷한 내용으로,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공정표를 작도하고 이를 이용해서 횡선식공정표를 그렸을 때도 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횡선식공정표때문인데요,,,횡선식공정표는 막대의 형태로 그려지므로 선후관계를 명확히 알기도 어렵고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와의 여유관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이러한 특징들을 아주 먼 옛날인 1991년도에 횡선식공정표의 장점을 3가지 쓰라고 했었고, 2001년도에는 횡선식공정표의 단점을 3가지 쓰라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이런 문제들의 특징은 위에서 언급해드린 내용을 시험문제 삼은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