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설비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건축설비 > 오호영
글쓴이 강*진 등록일 2022.10.30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기동토크가 크다 시동토크가 크다는 말이 같은건가요?

    예를들어 교류 엘리베이터의 기동토크가 적고 직류 엘리베이터가 크다는건 교류가 동력이 더 작고 느리고, 직류는 더 크고 빠른건가요?

    예를들어 ”직류 전동기는 시동 토크가 크므로 속도 제어가 요구되는 장소나 큰 시동토크가 필요한 엘리베이터 전차에 사용된다“ 여기서 시동토크도 힘이 크고 빨라 ”속도 제어가 요구된다“는 것이 브레이크 같은 또다른 반력이 필요하다는거죠?

     

    2. 교류엘리베이터는 기동토크가 적고 직류는 ”임의의 기동토크를 얻을 수 있다“ 는 것은 작은게 아니라 크기 때문에 작은거부터 큰거까지 값이 넓어서 임의의 라는 말이 사용되었고 , 그리고 크다는 것을 의미한건가요?

     

    3. 알칼리전지는 자가방전이 약간 작다, 연축전지는 자가방전이 보통이다. 여기서 ”자가방전“이 전압?전류?가 충전되서 커진다는 건지 다 써서 작아진다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의미를 알려주세요.

    그리고 자가방전이 보통이다 약간 작다. 뭐가 더 많고 적은 전류?가 있는건지. 가만 둬도 더 금방 닳아서 없어지는건지, 효율의 측면에서 뭐가 좋은건지 모르겠습니다.

     

    4.단효용은 2.5배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2.0배 성능계수가 올라간다는데 2중효용흡수식은 일반 냉동기보다 더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은 일반 냉동기와 또 다른건가요?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 보다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성능계수가 낮은가요?

     

    5.빙축열의 주된 목적은 어느것인가?

    1) 보다 찬 열원을 얻을 수 있어 실내 쾌적

    2) 얼음을 축열하므로 설비 점유 스페이스를 감소

    3) 부하 시간 이동시켜 피크부하 감소

    4) 야간전력을 이용하여 공조 에너지절약

    답은 3인데 124도 다 맞는 설명인가요?

     

    6.*주파수

    교류에 있어 어떤 상태에서 출발하여 차츰 변화되어서 최초의 상태로 돌아올때까지의 행정을 ‘사이클’

    1초간 사이클 수를 주파수 (Hz)

    우리나라는 60사이클 60Hz 사용

    1초간 60 행정이 일어난다는건가요? 1사이클=1Hz에 걸리는 시간은 1/60초 인가요?

     

    7.

    직류엘베 직류 전동기가 더 센거 같은데, 전압도 더 높고 왜 설명은 직류에 약전설비, 교류에 강전설비가 쓰인건가요? (주는거랑 받아들이는게 다른건가요? 뭐가 다른건지 제대로 표기된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8.하나의 전선관에는 최대 10본까지 넣을 수 있다

    4가닥 이상을 넣은 경우 단면적의 40%이하가 되어야 한다.

    -> 4가닥 이상 10가닥최대 인데 4가닥 이상이 단면의 40% 이하를 차지해야하고 초과하면 안되나요? 4가닥 이상으로 단면의 40%를 채워야한다는말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 4가닥 보다 적어도 되고 4가닥-10가닥인 경우 단면의 40%이하로 한다는 말 맞나요?

  • 오호영 |(2022.11.01 23:23)

    안녕하세요.

    한솔아카데미 강사 오호영입니다.

     

    1. 시동토크 기동토크 동일한 의미입니다.

    2. 기동 토크의 경우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토크(회전을 시킬려고 하는 힘)를 의미 하며, 직류가 교류전동기보다 임의의 기동토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크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3. 축전지의 자기방전은 부하의 연결 없이 시간과 함께 용량이 감소되는 현상으로 원인은 온도, 불순물, 시간, 비중 등에 의해 방전이 됩니다.

    축전기의 경우 충전방식에 따라 각기 다르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충전을 해줘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4. 단효용 흡수식냉동기는 흡수식 냉동기의 기본 사이클인 증발기, 흡수기, 재생기, 응축기를 조합한 구조로 단효용 흡수식냉동기는 주로 구동열원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 사용

    이중효용 흡수식냉동기는 냉동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식으로서 단효용 흡수식냉동기에 재생기와 열교환기를 하나 더 추가한 것이다.

    흡수식 성적계수- 0.5~0.7정도, 이중요용 냉동기 성적계수-1.1~1.2정도

    5. 빙축열시스템의 주된 목적은 ③이 답이 되어야 합니다.

    6. 주파수는 주기적 파상형상이 1초 동안 반복되는 형상으로 1초에 60회전, 60Hz입니다.

    7. 직류전동기의 경우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주는 전원장치는 컨버터를 사용 합니다.

    8. 교재내용은 맞는 내용이며, 전선관의 굵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기에는 4가닥 이상일 경우 40%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