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구조시험문제들은 특별히 문제의 조건에서 소수점을 언급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것은 특정의 수치가 단위변환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크게 표현할 수도 있고 작게 표현할 수도 있는 방법적인 내용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령, 어떤 모멘트의 값이 100,000,000 N.mm이 계산되었다고 보면 이것을 100,000 kN.mm로 표현할 수 있으며 1억을 10만으로 변환했으므로 9억9천9백9십만이라는 수치가 없어진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이때 소수점으로 표현된 수치들은 굉장히 미미한 범주에 속하게 될 것이므로 무시할 수 있게 됩니다.
100,000,000 N.mm을 100 kN.m로 표현했을 때는 1억을 100으로 변환했으므로 9억9천9백9십만9천9백이라는 수치가 없어진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비슷한 내용으로 이때 소수점으로 표현된 수치들은 굉장히 미미한 범주에 속하게 될 것이므로 무시할 수 있게 됩니다.
결론은 답안을 산출하는 과정이 명확하게 제시하고 최종답안의 단위만 제대로 표현이 된다면 소수점은 채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2) 처음부터 유효숫자 소수5자리의 지표들을 적용하는 특이한 지표들이 있습니다.
실기시험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특정 지표들을 이야기해보면 구조물의 처짐각, 철근비, 변형률 정도가 될것이며, 이러한 지표들은 문제의 조건에서 제시하지 않아도 소수5자리를 기본으로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소수5자리보다 작은 소수자리처리(가령, 소수4자리, 소수3자리...)는 답안의 오차가 다소 크게 발생될 여지가 있고, 소수5자리보다 큰 소수자리처리(가령, 소수 6자리, 소수7자리...)는 소수5자리와 별 차이가 없으므로 위와 같은 지표들은 소수5자리를 적용한다고 기억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