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건축기사 건축산업기사

전체메뉴
건축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건축(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시공용어 질문
질문유형 기타문의 > 실기시공
글쓴이 심*훈 등록일 2022.11.02 답변상태 답변완료
  • 물시멘트비 : 콘크리트에서 골재가 표면건조내부포수 상태일 때 반죽직후 물과 시멘트의 질량비

     

    엔드탭 : 용접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bead의 시작과 끝지점에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하는 보조강판

     

    플랫슬래브 구조에서 2방향 전단에대한 보강방법

     -슬래브의 두께를 크게한다

    -기둥열 철근을 스터럽으로 보강

    -H형강으로 전단머리 보강

    -지판을 사용하여 위험단면의 면적을 늘린다

     

    목재의 난연처리 방법

    -몰리브덴과 같은 방화제 도포

    -목재 표면에 방화페인트 도포

    -플라스터, 모르타르 등으로  피복

     

     

    이렇게 정리해도 되나요?

     

    그리고 콘크리트 헤드 정의

     

    타설된 콘크리트 윗면으로부터 최대 측압면까지의 거리 인지도 궁금합니다..

  • 한규대 |(2022.11.03 20:06)

    답변입니다:1)물시멘트비:콘크리트타설 직전(후)에 시멘트에 대한 물의 질량 백분률./이렇게만 쓰세요,,,중요한 핵심은 공장에서 아무리 물시멘트비를 잘 준수했더라도 현장에서 물을타서 쓰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타설직전이나 직후의 물시멘트를 강조하는 검니다../2)엔드탭은 균열방지가 목적이 아니라 용접결함 방지가 목적입니다,,그것만 고치세요,,,/*플랫슬래브는 제가 답을 작성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4)목재의 난연처리법은 /방화재(제) 혹은 난연재료를 도포(칠함.),방화재를 주입,금속재나 몰탈로 피복./정도로 쓰시면 됩니다...

    5)콘크리트 헤드는 질문하신 그대로 쓰세요.../타설된 콘리트 윗면에서 최대측압면 까지의 거리./참고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