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nominal은 공칭이라는 이름이며 여기서 n,
Resistance는 저항력이라는 이름이며 여기서 R을 채용하여
R_n은 공칭저항력, 공칭저항강도 정도로 부릅니다.
R을 힘의 기호인 P로 나타내어 P_n으로 표현해도 됩니다.
(2)
2016년 건축구조기준의 개정에 의해서 기존의 설계저항계수 0.9와 모재의 항복강도 F_y를 적용하던 것을 ---> 설계저항계수 0.75와 용접재의 인장강도 F_uw를 적용하는 체계로 변경되었다고 정리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2018년 1월1일부터 한국산업규격(KS)에서 구조용강재에 표현되는 숫자를 인장강도 F_u에서 항복강도 F_y로 변경했다는 것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어져왔던 시험문제들이 현재의 기준과 맞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의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분들을 위해 시험문제의 지문을 교재의 저자인 제가 임의로 약간의 수정을 가했음을 알려드리며, 개정된 기준을 적용한 교재의 내용으로 시험준비를 해두시면 되겠습니다.
(3)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는 다른 지표이며 위의 (2)의 내용으로 답변을 대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