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 책으로 건축계획 훑어보기식 공부를 하는 중인데요
공용시설상 분류에서 편복도형은
중규모 사무소건축(사무소계획)에 적합하다고 적혀있고,
복도형에 의한 분류에서 단일지역배치을
(편복도식)임으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1번 사진 참고—

그런데 문제의 해설은 서로 다른 말을 하고 있습니다
4번 문제는 편복도형은 소규모가 아닌 중규모 사무소가,
5번 문제는 단일지역배치(편복도식)가
소규모 크기의 사무실건물에 가장 적합하다고 말하고 있네요
—2번 사진 참고—

4번 문제는 이론에 맞는 말이지만
5번 문제는 맞지 않은 것 같아서요
!!!!결론적으로 질문은!!!!
1. 편복도형은 중규모에 적합한데, 편복도식인 단일지역배치는 소규모에 적합한건가요?
2. 공용시설상 분류에서 공용시설을 어떤 것을 말하는 걸까요? 1번 질문과 연관지어 설명 부탁드립니다
3. 3중지역배치 사무소는 "왜" 대여사무실을 포함하는 건물에 부적당한가요?
비슷한 qna 질문 봤는데 답변은 책의 이론적 질문만을 적혀있네요
절대 책의 이론적 내용을 적은 답변이 아니길 바랍니다
이유가 궁금한 것이지, 책에 적힌 이론적 내용이 궁금한 것이 아닙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나다
타당하진 않지만 가장 납득될만한 것은
[복도형에 의한 분류 3가지] 중 굳이 하나를 택하였을 때
단일지역배치가 소규모에 __가장__ 적합하다고 말한다고 본다는 건데… 이렇게 해석해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