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백화현상 정의에 시멘트의 수산화칼슘이 대기중의 탄산가스와 만나 수분에 의해 흰색 물질이 생기는것, 책에는 수분이 앞에 적혀있던데 순서가 틀려도 괜찮을까요?
2.공사표지판에 포함되어야 하는것: 용적률. 건폐율. 관계자 전화번호, 공사 완료일 처음 보는 문제라 적기는 적었는데 틀린것이 있을까요?
3.맴브레인 방수공법: 책에는 아스팔트 방수라 되어있는데 아스팔트 도막방수는 틀린것일까요?
4.욕실바닥 시공 순서: 방수, 기포콘크리,트 보호몰탈xl-15?, 보호몰탈, 타일 이 순서가 맞을까요?
5.레디믹스 콘크리트 정답을 레미콘이라 적었는데 채점이 안될까요?
6.피복두께 유지 목적에 소요강도 확보는 틀린것일까요?
7. 밀시트 정의: 부재의 품질 보증서, 스캘럽 정의: 용접시 부재를 부채꼴 모양으로 모따기 한것 (너무 간단하게만 적은것 같아 혹시 채점이 안될수 있는걸까요)
8.기준점 주의사항 3가지: 가능한 오래 존치한다. 책에 있는것이랑 다르게 썻지만 이것도 정답이 될까요?
9.경량철골의 장단점 장점:부재가 가볍다, 인력이 감소된다 단점:강도가 약하다, 가격이 비싸다 (이 문제는 처음보는 문제라 느낌으로 적었는데 틀린 답일까요?)
10.PQ장점에 (입찰과정 간소화 입찰 시간 간소화) 두 답이 다 틀린 걸까요?
헷갈린 문제들이 좀 많았는데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