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화살표형 네트워크 공정표를 그리다보면 로지컬더미(Logical Dummy)와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 두개만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두개만 구분한다면 여유시간 계산에 혼란은 없을 것입니다.
동그라미로 표현되는 이벤트에서 실선의 화살표 없이 단 하나의 더미만 발생하는 경우는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입니다.
오직 이 경우에만 해당작업의 여유시간 계산은 바로 다음의 이벤트에서 계산한다고 기억해두시고, 나머지 경우는 해당작업의 종료이벤트에서 여유계산을 합니다.
나머지 경우라는 것은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가 아니라 로지컬더미(Logical Dummy)라는 것입니다.
올려주신 그림파일에서 결합점1과 2, 3과 4에서 발생된 더미는 넘버링더미(Numbering Dummy)이고, 2와 4의 더미는 로지컬더미(Logical Dummy)입니다.
B작업의 여유계산은 4번결합점에서 실시합니다.
B작업의 ET=0이고 소요일수 2일을 더하면 2가 되며 4번 결합점의 4,4로 표현된 뒤쪽의 4에서 2를 뺀값이 TF=2가 되며, 앞쪽의 4에서 2를 뺀값이 FF=2가 되며, DF=TF-FF=2-2=0이 됩니다.
D작업의 여유계산은 2번결합점에서 실시합니다.
D작업의 ET=0이고 소요일수 2일을 더하면 2가 되며 2번 결합점의 4,4로 표현된 뒤쪽의 4에서 2를 뺀값이 TF=2가 되며, 앞쪽의 4에서 2를 뺀값이 FF=2가 되며, DF=TF-FF=2-2=0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