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위 문제에서 공액보법을 적용하여 아래와 같이 풀어보았습니다
보시다시피 탄성하중으로 바꾸면서 기존의 휨모멘트도가 x축에 대해 대칭인 형식으로 뒤집혔기 때문에 B점에서의 전단력과 휨모멘트의 부호가 -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답은 +로 나오더군요...
공액보법의 내용인 가상 구조물에서의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실제 구조물에서의 처짐각과 처짐이다를 적용하면 부호도 그대로 적용되야 하는것 아닌가요?? 왜 +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휨모멘트도(BMD)를 탄성하중으로 치환해야하는데 이것을 하지 않으셨습니다.
즉, 세번째 그림에서 좌측의 PL/2의 값이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직각삼각형이 그려져야 정확한 공액보가 됩니다.
이러한 공액보의 상태에서 각각의 위치의 휨모멘트를 구한 것이 실제구조물의 처짐이 되며, 결과값이 +이면 하향처짐, 결과값이 -이면 상향처짐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