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늘 한솔 아카데미에서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특히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은 교수님의 기출 문제 풀이를 보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드릴 사항은, 2020년 제 2회 기출문제 풀이 시에 C작업의 여유시간 계산 시 "C작업과 B작업이 시작점과 끝점이 같으므로, C작업을 이벤트로 끝내고, B작업으로 더미를 보내서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하고, 여유시간 계산 시에도 C작업의 여유시간을 B작업이 종료되는 이벤트에서 계산을 해서 TF 1 FF 1 DF 0으로 계산을 한다." 라고 강의를 하셔서 그동안 그 내용을 생각하며 여유시간을 계산했습니다.
그런데 2022년 제 1회 기출문제 풀이에서는 A작업의 여유시간 계산 시에, A작업의 종료점에서 더미가 생겨서 E작업으로 보내지는데 여유시간 계산을 A점의 종료점에서 하셨더라구요. 둘 중 어떤 방식이 맞는 건가요? 아니면 혹시 상황마다 계산하는 지점이 다른가요?
첫 번째 사진이 2020년 제 2회 기출문제 풀이이고, 두 번째 사진이 2022년 제 1회 기출문제 풀이입니다.

